- 발음
- [드리닫따]
- 활용
- 들이달아[드리다라], 들이달으니[드리다르니], 들이닫는[드리단는]
- 품사
- 「동사」
- 「001」몹시 빨리 달리다.
- 겨우 상을 들이고 난 콩심이가 숨이 턱에 차 건넌방으로 들이달으며 효원을 부른다.≪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 옛말
- 드리-다
역사 정보
드리다(15세기~19세기)>들이닫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들이닫다’의 옛말인 ‘드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리다’는 “들입다, 몹시”의 의미인 접두사 ‘드리-’와 “달리다”의 의미인 ‘다’가 결합한 것이다. ‘드리다’의 ‘드리’가 “들어가다” 혹은 “들어오다”의 의미인 ‘들-’과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드리다’의 ‘드리’에는 이러한 방향성과 관련된 의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15세기부터 이미 접두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드리다’은 ‘-’과 마찬가지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드리-’로,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드리-’으로 나타나는 ㄷ 불규칙 용언이지만, 문헌에서는 ‘드리-’의 예만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다’가 ‘닫다’로 변화되고, 20세기 이후 분철 표기 함에 따라 ‘들이닫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드리-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