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공ː납

- 활용
- 공납만[공ː남만

- 품사
- 「명사」
- 분야
-
『역사』
- 「003」백성이 그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조정에 바치던 일. 또는 그 세제(稅制).
- 관청에서 부리던 노비. 공노비로 사노비와는 달리 독립하여 생활하면서 부역과 공납의 의무를 부담하기도 하였다.
- 늘어난 세금과 공납 탓에 영세한 자작농과 소작농들은 거의 굶어 죽을 지경이었다.≪정용선, 한국의 사상, 한샘 출판사, 1994년≫
- 삼국은 복속된 소국에 대한 정치적 자치는 인정한 반면 경제적 공납(貢納)과 군사적 동원의 의무를 부과하였다.≪강만길 외, 한국사, 한길사, 1994년≫
- 그런데 공납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그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을 배정하는 따위가 그것이다.≪이성무, 조선 왕조사, 동방 미디어, 1999년≫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