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지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언어』
「003」단독으로 쓰이지 아니하고 항상 다른 어근(語根)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 앞가지와 뒷가지가 있다.
말을 만드는 가지에는 앞가지와 뒷가지 따위가 있다.

역사 정보

갖(15세기)>가지(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지’의 옛말인 ‘갖’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갖’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가지’가 된 것인데, 이는 15세기에 처격 조사가 결합한 ‘가재’를 통해 알 수 있다. 15세기에는 마지막 음절이 ‘ㅣ’모음으로 끝날 경우 처격 조사 ‘예’가 결합하여 ‘가지예’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마리 나못 가지예 쇼셔≪1459 월석 20:36b≫). 그런데 15세기에 ‘가재’로 나타났다는 것은 마지막 음절이 ‘ㅣ’모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갖’에 처격 조사 ‘애’가 결합한 것임을 나타낸다. ‘갖’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가지’도 이미 15세기 문헌에서 ‘갖’과 공존하여 나타나며 ‘가지’가 더 일반적이었다. 16세기에 ‘가지’로 완전히 통일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가지, 갖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가지, 갖)
畢鉢羅樹는 으미 누르고 오 가지와 닙괘 퍼러코 겨레도 닙 아니 디니 ≪1447 석상 3:41ㄴ
야미 가칠 므러 즘겟 가재 연니 聖孫將興에 嘉祥이 몬졔시니 ≪1447 용가 7
마리 나못 가지예 쇼셔 ≪1459 월석 20:36b
16세기 : (가지)
가짓 지 ≪1527 훈몽 하:2ㄴ
17세기 : (가지)
버듨 가지 새배 소내 잇더니 豆子ㅣ 비예 마 닉도다 ≪1632 두시-중 9:17ㄱ
18세기 : (가지)
杏花  가지 것거 膽甁에 자두라 香을 픠워시니 리 ≪1721 오륜전비 1:32ㄱ
19세기 : (가지)
가지 枝 ≪1880 한불 138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