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갈다발음 듣기]
활용
갈아[가라발음 듣기], 가니[가니발음 듣기], 가오[가오]
품사/문형
「동사」 【…을 …으로】
「002」어떤 직책에 있는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바꾸다.
임원을 새 인물로 갈다.
책임자를 전문가로 갈다.
아무리 사람이 재산이 흥하면 처를 갈고 신분이 높아지면 친구를 간다 하나….≪유현종, 들불≫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갈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갈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갈다’가 되었다. 18세기 문헌에서는 ‘갈다’가 확인되지 않다가 19세기부터 ‘갈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다, 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香湯애 沐浴고 새 옷 라 닙고 즉자히 王 가  ≪1447 석상 6:27ㄴ
16세기 : (다)
날마다   밧고   라 닙니 ≪1510년대 번노 상:57ㄴ
17세기 : (다)
겨집이 소기되 옫 라 닙고 나아 니거징이다 고 ≪1617 동삼 열:1ㄱ≫
18세기 : (다)
차 교 당면 라 가기 듯디 아니고 ≪1758 종덕 중:36ㄱ
즉시 목욕고 오 라 닙고 술 부어 먹고 목여 죽으니 ≪1797 오륜 충:45ㄴ
19세기 : (갈다)
이의 졍 의복을 갈아 닙고 문을 나 멀니셔 기리더니 ≪1852 태상 5:3ㄱ
갈다 替 옷 가라 닙다 ≪1880 한불 13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