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알리다발음 듣기]
활용
알리어[알리어발음 듣기/알리여발음 듣기](알려[알려]), 알리니[알리니]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을】【…에/에게 -고】
「001」((‘…을’ 대신에 ‘…에 대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알게 하다. ‘알다’의 사동사.
본부에 상황을 알리다.
사람들에게 소식을 알리다.
차마 이 사실을 그에게 알릴 수가 없었다.
시험에 합격했다고 부모님께 알려 드렸다.
그에게 수업이 휴강되었다고 알렸다.
나는 무사히 도착했다고 집에 알렸다.
다른 이야기는 천천히 할 터이니 손님과 인사나 하시고, 형님이 항상 알려고 하시던 평양 사돈집 이야기나 자세히 들으시오.≪이인직, 모란봉≫

역사 정보

알외다(15세기~19세기)>알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알리다’의 옛말인 ‘알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알외-’는 동사 어간 ‘알-’에 선어말 어미 ‘-오-’가 결합되고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보이는 ‘알뢰다’는 제1음절의 ‘ㄹ’이 중철 표기된 것이다. ‘알위다’는 선어말 어미 ‘-오-’가 ‘-우-’로 교체된 것이다. ‘알외다’는 “어떤 사실을 알게 하다”라는 뜻과 함께 알게 되는 객체를 높여 “어떤 사실을 말씀드려 아시게 하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전자를 ‘알리다’로 표현하고 후자를 ‘아뢰다’로 표현한다.
이형태/이표기 알외다, 알뢰다, 알위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알외다))
부텨 恭敬을 버디 다시 알외니1447 월곡 55ㄱ
淮王이 峽中에 알외도다1481 두시-초 24:57ㄴ
16세기 : ((알외다))
존이 몬져 사브려 알외야1574 여씨-일 19ㄴ
위곡 들 알외더라1518 번소 7:37ㄱ
17세기 : ((알외다, 알뢰다, 알위다))
닐어 알외다 (說知) ≪1657 어록-초 23ㄴ
쵸탐마긔 흔드러 경을 알뢰라1612 연병 22ㄱ
알위다 (知會) ≪1657 어록-초 23ㄴ
18세기 : ((알외다, 알뢰다))
내 바로 알외디 아니니 ≪1756 천의 4:37ㄴ
편지 엇 징죠 미리 알뢰든 거신가 시부다 ≪1765 청노 5:8ㄱ
19세기 : ((알외다, 알위다))
마묵이 신죵 알외여1852 태상 2:43ㄱ
다시 샹뎨게 알위여 발키 법을 졍야 ≪1883 명성 25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