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배까죽


- 활용
- 뱃가죽만[배까중만


- 품사
- 「명사」
- 「001」배를 싸고 있는 가죽.
역사 정보
가족(17세기)>갓ㅊ(18세기)>가족(19세기)>뱃가죽(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뱃가죽’의 옛말인 ‘가족’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배’와 ‘가죽’의 합성어인데 ‘배’의 옛말은 ‘’이며 ‘가죽’의 옛말은 ‘가족’이다. ‘’와 ‘가족’의 합성어 ‘가족’은 17세기부터 쓰이기 시작했으며 ‘’와 가죽을 뜻하는 ‘갗’의 받침 ‘ㅊ’이 받침과 후행 성분의 제1음절에 걸쳐 표시되는 중철 표기인 ‘갓ㅊ’의 합성어 ‘갓ㅊ’이 18세기에 사용되었다. ‘’와 ‘가족’은 사이시옷이 없는 표기도 보이는데 이 현상은 19세기에 종종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가족, 갓ㅊ, 가족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뱃가죽이 두껍다
- 염치가 없어 뻔뻔스럽거나 배짱이 세다.
- 한산도의 왜적 사백여 명을 그대로 일시에 놓쳐 버렸으니, 아무리 뱃가죽이 두꺼운 원균이라 하나 얼굴이 무안에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박종화, 임진왜란≫
- 관용구뱃가죽이 등에 붙다
- ‘배가 등에 붙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 뱃가죽이 등에 붙은 년더러 고기를 다루어서 밥도 없는 반찬을 만들라고? ≪염상섭, 부부≫
- 속담뱃가죽이 땅 두께 같다
- 뱃가죽이 땅 두께처럼 두껍다는 뜻으로, 염치가 없거나 배짱이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