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배까죽발음 듣기/밷까죽발음 듣기]
활용
뱃가죽만[배까중만발음 듣기/밷까중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배를 싸고 있는 가죽.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뱃-거죽(강원), 뱃-복(제주)
옛말
-가족

역사 정보

가족(17세기)>갓ㅊ(18세기)>가족(19세기)>뱃가죽(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뱃가죽’의 옛말인 ‘가족’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배’와 ‘가죽’의 합성어인데 ‘배’의 옛말은 ‘’이며 ‘가죽’의 옛말은 ‘가족’이다. ‘’와 ‘가족’의 합성어 ‘가족’은 17세기부터 쓰이기 시작했으며 ‘’와 가죽을 뜻하는 ‘갗’의 받침 ‘ㅊ’이 받침과 후행 성분의 제1음절에 걸쳐 표시되는 중철 표기인 ‘갓ㅊ’의 합성어 ‘갓ㅊ’이 18세기에 사용되었다. ‘’와 ‘가족’은 사이시옷이 없는 표기도 보이는데 이 현상은 19세기에 종종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가족, 갓ㅊ, 가족
세기별 용례
17세기 : (가족)
너  가짓 爭名奪利 官人이 일에  가족에 틧글이 석 자히나 무텻고 ≪1677 박언 중:43ㄱ
18세기 : (갓ㅊ)
妾이 이제 情願으로 갓츨 割開고 ≪1721 오륜전비 7:5ㄱ
19세기 : (가족)
흙과 돌을 만히 너허  눌으니 가족이 터져 쥭엇더라 ≪1852 태상 2:16ㄴ

관용구·속담(3)

관용구뱃가죽이 두껍다
염치가 없어 뻔뻔스럽거나 배짱이 세다.
  • 한산도의 왜적 사백여 명을 그대로 일시에 놓쳐 버렸으니, 아무리 뱃가죽이 두꺼운 원균이라 하나 얼굴이 무안에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박종화, 임진왜란≫
관용구뱃가죽이 등에 붙다
배가 등에 붙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 뱃가죽이 등에 붙은 년더러 고기를 다루어서 밥도 없는 반찬을 만들라고? ≪염상섭, 부부≫
속담뱃가죽이 땅 두께 같다
뱃가죽이 땅 두께처럼 두껍다는 뜻으로, 염치가 없거나 배짱이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