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모라가다발음 듣기]
활용
몰아가[모라가발음 듣기], 몰아가니[모라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으로】
「001」몰아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다.
가마를 대감 댁으로 몰아가다.
군사를 진지로 몰아가다.
생사람을 범인으로 몰아가다.
일을 되는 방향으로 몰아가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몰어-가다(강원)

역사 정보

모라가다(15세기~19세기)>몰아가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몰아가다'의 옛말인 '모라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모라가다'는 '몰다'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모라'와 '가다'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에 '모라가다'를 분철 표기 한 '몰아가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모라가다, 몰아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모라가다)
德 됴 留承이 水草 조차 五百 쇼 모라가더니1459 월석 22:12ㄴ
16세기 : (모라가다)
우리  모라가 햐츄에 가 짐 설엇노라 면 마치 리로다 ≪1510년대 번노 상:58ㄴ
17세기 : (모라가다)
모라가매 하히 눈 오니 軍人이 녀 노픈 뫼로 드러가다 ≪1632 두시-중 5:28ㄴ
18세기 : (모라가다, 몰아가다)
내 다만 여러 을 모라갈 이오  다 財物 업니 ≪1790 몽노 2:10ㄴ
우리 다만 을 몰아가   아조 죠흔 貨物 업스니 ≪1765 청노 2:14ㄱ
19세기 : (모라가다)
 붉은 옷스로 부르지 아니면 네 엇지 나오리요 고 모라가니1852 태상 2:70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