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뒤ː축

- 활용
- 뒤축만[뒤ː충만

- 품사
- 「명사」
- 「001」신이나 양말 따위의 발뒤축이 닿는 부분.
- 뒤축이 해진 양말.
- 구두 뒤축이 닳다.
- 신발 뒤축을 꺾어 신다.
- 그는 신발을 제대로 신을 겨를도 없이 뒤축을 끌고 허겁지겁 나갔다.
- 일행은 시장 안의 구두 가게란 가게는 온통 뒤지다시피 한 끝에, 뒤축이 높고 끝이 뾰족한 깜장 구두를 골랐다.≪손창섭, 치몽≫
- 땅강아지가 발바닥에 금테 뒤축을 달았다는 소문은 전에도 한 번 있었다.≪이문희, 흑맥≫
- 키가 커 보이게 하느라고 특별 주문을 했는지 몸이 앞으로 곤두박질을 할 만큼이나 뒤축이 높은 캥거루 구두를 신었다.≪심훈, 영원의 미소≫
- 철호는 명숙의 그 구멍 뚫린 양말 뒤축에서 어떤 깨끗함을 느끼고 있었다.≪이범선, 오발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뒤측(15세기~19세기)/뒤축(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뒤축’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뒤축’은 ‘뒤’와 ‘축’이 결합한 것이다. 같은 15세기에 ‘뒤축’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뒤측’도 나타나는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뒤측’의 ‘측’은 15세기 문헌에서 확인되는데(발 {측} 爲跟 ≪1446 훈해 57≫), 이것이 ‘뒤축’의 ‘축’과 의미가 동일하면서 형태가 다른 단어였는지 같은 단어가 모음을 달리하여 나타난 형태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17세기의 ‘뒷축, 뒷측’은 각각 ‘뒤축’과 ‘뒤측’에 관형격 조사 ‘ㅅ’이 개재된 것이다. 18세기의 ‘뒤촉’은 ‘뒤측’ 혹은 ‘뒤축’의 제2음절 모음이 ‘ㅗ’로 변화한 것이며, ‘뒤쵹’은 치음이었던 ‘ㅊ’이 구개음으로 변화함에 따라 ‘촉’과 ‘쵹’의 발음이 구분되지 않게 되면서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뒤축, 뒤측, 뒷축, 뒷측, 뒤쵹, 뒤촉, 뒤츅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