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윽꼬

- 품사
- 「부사」
- 「001」얼마 있다가. 또는 얼마쯤 시간이 흐른 뒤에.
- 동녘 하늘이 뿌옇게 되더니 이윽고 해가 뜨기 시작했다.
- 마루 끝에 우두커니 섰던 막내는 이윽고 몸을 돌려 방으로 건너갔다.
- 하늘에 퍼런 금이 서더니 이윽고, 쿵 우르릉! 세상이 동강이 나는 소리와 함께 주먹 같은 빗방울이 쏟아졌다.≪장용학, 비인 탄생≫
- “아이고 영감” 하는 노파의 울부짖음이 터져 나오더니 이윽고 간장을 도려내는 듯한 호곡 소리가 이어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서둘러 저녁밥을 시켜 먹고 기다리고 있으려니까 이윽고 방문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유재용, 성역≫
- 머리를 쳐든 조상사의 눈에 이윽고 사방에 흩어진 소대원의 모습이 하나 둘씩 발견된다.≪홍성원, 육이오≫
- 그를 한동안 바라보다가 이윽고 가벼운 한숨과 더불어 발걸음을 떼어 놓으며 조용히 말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 그은 처마끝에서 저녁연기가 피어올라 그것이 허공에서 실오라기처럼 풀리다가 이윽고 흔적 없이 스러져 갔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말없이 명화의 얼굴은 데밀어 보는 상열의 얼굴엔 처참한 표정이 움직였다. 이윽고 눈을 스르르 감는데, 눈시울엔 서리가 번뜩였다.≪현진건, 적도≫
- 원장의 배가 오동도를 지나면서부터 돌을 실어 나르던 작업선들이 한두 척 그의 배를 뒤따르기 시작하더니 이윽고 그것이 제법 거창한 해상 행진의 대열을 이루며 바다를 온통 뒤덮고 말았던 것이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이윽코(강원, 경상)
- 옛말
- 이고
역사 정보
이고(15세기~16세기)>이윽고(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윽고’의 옛말인 ‘이고’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ㅿ’이 사라짐에 따라 ‘이윽고’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이고, 이윽고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