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오르다

- 활용
- 올라[올라


- 품사/문형
- 「동사」 【…에】【…을】
- 「001」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움직여 가다.
- 산에 오르다.
- 옥상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았다.
- 정상을 오르다.
- 계단을 오르다.
- 차가 비탈길을 다 내려와 다시 오르막길을 오르기 시작한다.≪홍성원, 육이오≫
- 그녀도 산에 오르고 싶어졌다. 지리산에 오르기만 하면 서초머리 아버지를 만나게 될 것만 같았다.≪문순태, 피아골≫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오리다(강원, 경상), 올르다(강원, 전남, 제주, 충청)
역사 정보
오다(15세기~19세기)>오르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오르다’의 옛말인 ‘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다’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오거늘, 오시고’와 같이 ‘오-’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올아’와 같이 ‘올ㅇ-’으로 실현되어 ‘오-/올ㅇ-’의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였는데, ‘오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오르다’가 되었다. 16세기에는 ‘오다’가 ‘오르다’로 변한 것뿐 아니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올ㅇ-’으로 실현되던 활용형에도 변화가 생겼다. 16세기에 ‘ㄹ’ 뒤에 오던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하면서 ‘ㄹ’이 첨가되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도 ‘올라’와 같이 ‘올ㄹ-’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17세기까지 ‘올ㅇ-’과 ‘올ㄹ-’이 공존하다가 18세기부터 ‘올ㄹ-’로 통일되어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오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올ㄹ-’이 일반화되었다. 이로써 ‘오르-/올ㄹ-’의 교체를 갖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에 나타나는 ‘올-’와 18, 19세기에 나타나는 ‘올으-’는 ‘오-, 오르-’의 과잉 분철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오-, 올ㅇ-, 올ㄹ-, 오르-, 올으-, 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 자기의 능력 밖의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 <동의 속담>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