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르다발음 듣기]
활용
올라[올라발음 듣기], 오르니[오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을】
「001」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움직여 가다.
산에 오르다.
옥상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았다.
정상을 오르다.
계단을 오르다.
차가 비탈길을 다 내려와 다시 오르막길을 오르기 시작한다.≪홍성원, 육이오≫
그녀도 산에 오르고 싶어졌다. 지리산에 오르기만 하면 서초머리 아버지를 만나게 될 것만 같았다.≪문순태, 피아골≫

역사 정보

오다(15세기~19세기)>오르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르다’의 옛말인 ‘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다’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오거늘, 오시고’와 같이 ‘오-’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올아’와 같이 ‘올ㅇ-’으로 실현되어 ‘오-/올ㅇ-’의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였는데, ‘오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오르다’가 되었다. 16세기에는 ‘오다’가 ‘오르다’로 변한 것뿐 아니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올ㅇ-’으로 실현되던 활용형에도 변화가 생겼다. 16세기에 ‘ㄹ’ 뒤에 오던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하면서 ‘ㄹ’이 첨가되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도 ‘올라’와 같이 ‘올ㄹ-’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17세기까지 ‘올ㅇ-’과 ‘올ㄹ-’이 공존하다가 18세기부터 ‘올ㄹ-’로 통일되어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오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올ㄹ-’이 일반화되었다. 이로써 ‘오르-/올ㄹ-’의 교체를 갖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에 나타나는 ‘올-’와 18, 19세기에 나타나는 ‘올으-’는 ‘오-, 오르-’의 과잉 분철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오-, 올ㅇ-, 올ㄹ-, 오르-, 올으-, 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 올ㅇ-)
리 病이 기퍼 山脊에 몯 오거늘 君子 그리샤 金뢰ㄹ 브려 시니 ≪1447 용가 109
羅睺羅 더브러 노 樓 우희 오시고1447 석상 6:2ㄴ
즉자히 神通力으로 樓 우희 라 올아 耶輸ㅅ 알 가 셔니 ≪1447 석상 6:3ㄱ
16세기 : (오-, 올ㅇ-, 오르-, 올ㄹ-, 올-)
 이러시 브즈러니 머기면 므슴 히 오디 아니리오 ≪1510년대 번박 22ㄱ
관원토 여러 예 올아셔 이바디 시니 ≪1510년대 번박 71ㄱ
만난 거 초고 텽의 올라 안부를 묻오니 ≪1588 소언 6:92ㄱ
진지 오를 제 반시 시그며 더운 졀 펴 보시며 ≪1588 소언 4:12ㄱ
主人이 손과 더블어 올기를 양야 主人이 몬져 올거든1588 소언 2:69ㄱ
17세기 : (오-, 올ㅇ-, 올ㄹ-)
므거운 것 들며 노  오며 험  건너기를 말며 ≪1608 언태 15ㄱ
힘 노 뫼헤 올아 나모 져 져젯 門에 몯니 ≪1632 두시-중 25:46ㄴ
이 날 나조희 김이 남긔 올라 목 야 라 주그니 나히 스믈여스시러라 ≪1617 동신속 열1:72ㄴ≫
18세기 : (오-, 오르-, 올ㄹ-, 올으-)
녜 사이 닐 셩닙기 어려오믄 하의 오기 고 븍튜기 쉬오믄 털 옴 다 니 ≪1764 어조 16ㄴ
훗 손이 누의 올라 이 말을 각면 ≪1763 경문속 3ㄱ
故로 놉흔 남기 소소아 오르면 가지 붇디 몯며 ≪1737 여사 3:75ㄱ
슈라 올을 제 반시 시그며 더운 節 펴 보시며 ≪1737 어내 1:33ㄱ
19세기 : (오-, 오르-, 올ㄹ-, 올으-)
고셩인은 구셰쥬ㅣ 탄시매 잇그러 하에 오게 시니 가히 즐거올지라 ≪1892 성직 62ㄱ
헤셔 나 김이 올라 치운  당면 김이 엉긔여 ≪1889 사민필지 6≫
뎨군이 젼상의 오르신다 거 ≪1876 남궁 11ㄱ
부에 명이 라지고 일홈이 텬샹 옥누에 올으리라1880 과화 09ㄴ

관용구·속담(1)

속담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자기의 능력 밖의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 <동의 속담>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