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씨아

- 품사
- 「명사」
- 「001」목화의 씨를 빼는 기구. 토막나무에 두 개의 기둥을 박고 그 사이에 둥근 나무 두 개를 끼워 손잡이를 돌리면 톱니처럼 마주 돌아가면서 목화의 씨가 빠진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목화-틀(강원), 쇄기(강원, 경북), 쇄아기(강원), 쉐시(강원), 쌔(강원), 쎄기(강원, 황해), 쐐(강원), 씨애(강원, 충북), 목화-쒜기(木花쒜기)(경기), 쌰(경기), 쎄이(경기), 쐬(경기), 목-새기(木새기)(경남), 새기(경남), 새이기(경남), 세에기(경남), 시아기(경남), 쌔래기(경남), 쌔아기(경남), 쌔아시(경남), 쌔이(경남, 전남), 쐬기(경남), 쒸아시(경남, 충북), 씨눈(경남), 쉐기(경북), 쐐씨(경북), 쒜기(경북), 씨기(경북), 씨아기(경북), 쌔기(경상, 충북), 씨애기(경상), 씨아시(전라), 쐐시(전북, 충북), 씨가시(전북), 씨웨시(전북), 멘네-틀(제주), 무으레(제주), 바르는-물레(제주), 보르는-물레(제주), 씨아시-무르레(제주), 씨애시(충남), 쐐기(충북), 씽애(평북), 토리개(평안), 따리개(함남), 타리개(함남), 쉐(황해), 쒸아(황해)
역사 정보
양이(17세기~18세기)>씨아(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씨아’의 옛말인 ‘양이’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양이’는 “씨앗”을 뜻하는 ‘ᄡᅵ’에 접미사 ‘-양이’가 결합된 것이다. ‘-양이’는 원래 “작은 것”을 뜻하는 ‘-앙이’인데 앞 음절 모음 ‘이’에 의해 ‘ㅣ’가 첨가되어 ‘-양이’로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양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3)
- 속담씨아 등에 아이를 업힌다
- 일이 매우 바쁘고 급한 형편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씨아와 사위는 먹어도 안 먹는다
- 씨아가 목화를 먹는 것과 사위가 무엇인가를 먹는 것은 아깝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사위를 대단히 귀하게 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씨아 틈에 불알을 놓고 견디지
- 씨아 틈에 불알을 놓고 견디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뜻으로, 누군가 몹시 귀찮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