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드님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남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선생님께서는 당신의 아드님이 학자로서 성공하기를 바라셨다.
연세는 얼마나 되시고, 아드님을 몇이나 두셨습니까?≪이인직, 모란봉≫

역사 정보

아님(15세기~19세기)>아님(15세기~19세기)>아드님(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드님’의 옛말인 ‘아님’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님’은 ‘아’에 접사 ‘님’이 결합하여 형성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나타나는 ‘아님’은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한 형태이다.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경계에서(길+ㄴ→긴), 또 용언 어간과 용언 어간의 합성에서는(놀-+니-→노니-) ‘ㄴ’ 앞의 ‘ㄹ’이 필수적으로 탈락하였으나 체언 합성어의 두 요소 사이에서는(벼리 ≪월인석보≫, 이 ≪월인천강지곡≫) 문헌에 따라 ‘ㄹ’이 탈락하기도 하고 탈락하지 않기도 하였다. ‘아’은 ‘아들’로 16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아들님’이나 ‘아드님’은 20세기에 와서야 나타난다. ‘아님’, ‘아님’이 있었으므로 새롭게 나타난 ‘아들’에 따로 ‘님’을 결합하여 새로운 합성어를 만들어 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ㆍ’가 표기상 완전히 사라지는 20세기에야 ‘아님, 아님’은 완전히 종적을 감추고 ‘아드님’으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아님, 아님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님, 아님))
其一百十三 아님 成佛커시 아바님 그리샤 ≪1447 월곡 41ㄱ
王이 다  아님 두샤 深山애 내티시고 ≪1459 월석 20:87ㄴ
16세기 : ((아님))
周ㅅ나라 님금이니 文王 아님이라1588 소언 4:12ㄴ
18세기 : ((아님, 아님))
문슈ㅣ 마야 쳥샤 환희원에 가 아님 보쇼셔 ≪1762 지장 상:1ㄱ
肅宗 明帝 아님 孝章皇帝라 ≪1737 어내 2:35ㄱ
19세기 : ((아님, 아님))
예수 보고 업여 절고 이 하님의 아님을 칭숑며 ≪1894 훈아 13ㄴ
그 사이 답 내가 그 아님 죄 엇어 다시 십가에 못박히게 야 ≪1894 천로 상:35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