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수키와]
- 품사
- 「명사」
- 분야
-
『건설』
- 「001」두 암키와 사이를 엎어 잇는 기와. 속이 빈 원기둥을 세로로 반을 쪼갠 모양이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수디새(16세기~17세기)>수지새(18세기)>수키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수키와’의 옛말인 ‘수디새’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수디새’는 “수컷”을 의미하는 ‘숳’에 기와를 의미하는 ‘디새’가 결합된 것이다. 15세기에 ㅎ 종성 체언으로 나타난 ‘숳’은 15세기 말부터 ㅎ이 떨어진 ‘수’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수디새’는 ‘숳’이 ‘수’로 바뀐 다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디새’는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지새’가 되었는데 ‘수디새’도 같은 변화를 겪어 ‘수지새’가 된 것이다. 이 ‘지새’는 다시 ‘기와’로 변하는데 ‘수기와, 수키와’ 등은 근대 국어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표준어 규정 제2장 7장에는 역사적으로 ㅎ 종성 체언이었던 ‘수’가 접두사로 쓰일 때 ‘수’로 표기하되 ‘수캐, 수컷’ 등에서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고 되어 있다. 현재의 ‘수키와’는 그 거센소리를 인정하는 예 중 하나로서 ‘수기와’가 아닌 ‘수키와’가 표준어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수디새, 수지새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4)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