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엉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동물』
「001」올빼밋과의 솔부엉이, 수리부엉이, 칡부엉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야행성이거나 박모성(薄暮性) 종이 많지만 쇠부엉이같이 낮에 활동하는 종도 있다. 전 세계에 23속 13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역사 정보

부(15세기)>부헝이(17세기~19세기)>부엉이(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엉이’의 옛말인 ‘부’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부헝이’의 예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되나, 16세기 문헌에는 ‘부’의 제1음절 모음 ‘ㅜ’의 영향으로 제2음절에 반모음 w가 첨가된 ‘부’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부이’의 예가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부헝이’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한 ‘부엉이’ 형태가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부, 부이, 부헝이, 부엉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부)
부 爲鵂鶹 ≪1446 훈해 56
16세기 : (부이, 부훵이)
부이 휴 鶹 부이 류 鴞 부이 효 ≪1527 훈몽 상:8ㄴ
부훵이 효 ≪1576 신합 상:12ㄴ
17세기 : (부헝이)
鵂鶹 부헝이1690 역해 하:27ㄴ
18세기 : (부헝이)
鵂鶹 부헝이1748 동해 하:34ㄴ
19세기 : (부헝이, 부엉이)
부헝이 鵂 ≪1880 한불 339
부엉이 鵂 ≪1880 한불 338

다중 매체 정보(1)

  • 부엉이

    부엉이

관용구·속담(5)

관용구부엉이 방귀 같다
부엉이는 자기가 뀐 방귀에도 놀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도 잘 놀란다는 말.
속담부엉이 곳간
부엉이는 둥지에 먹을 것을 많이 모아 두는 버릇이 있다는 데서, 없는 것이 없이 무엇이나 다 갖추어져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부엉이 셈 치기
부엉이가 수를 셀 때 반드시 짝으로 하므로 하나가 없어지는 것은 알아도 짝으로 없어지는 것은 모른다는 데서 나온 말로, 세상에 몹시 어두운 사람의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부엉이 소리도 제가 듣기에는 좋다고
세상에 듣기 싫은 부엉이 소리조차도 부엉이가 들으면 듣기에 좋다는 뜻으로, 자기의 약점을 모르고 제가 하는 일은 다 좋은 것으로만 생각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부엉이 집을 얻었다
부엉이는 닥치는 대로 제집에 갖다 두어서 거기에는 없는 것이 없다는 데서 나온 말로, 횡재를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