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도롱태]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학명
- Accipiter nisus
- 「003」수릿과의 새. 몸의 길이는 28~38cm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훨씬 크다. 등은 회색, 아랫면은 흰색이고 온몸에 어두운 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수컷을 ‘난추니’, 암컷을 ‘익더귀’라 하고 길들여 작은 새 따위를 잡는 데 쓴다. 텃새 또는 떠돌이새로 숲속과 숲 부근의 개활지에서 단독으로 사는데 북위 30도에서 북극권까지 분포·번식한다. 북부 지역에 번식하는 집단은 겨울에 남하하여 겨울을 보내고 남부 지역에서 번식하는 집단은 정주한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새매’이다.
역사 정보
도태(15세기~17세기)>도롱태(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도롱태'의 옛말인 '도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도태'는 몽골어 'turimtai'에서 차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태'는 16세기 이후 종성의 'ᅌ'이 'ᄋ'으로 표기됨에 따라 '도롱태'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되롱태'는 '도태'의 제2음절 종성 'ᅌ'이 'ᄋ'으로 표기된 '도롱태'에서 제1음절 모음이 'ᅬ'로 변화된 것이며, 18세기의 '죠롱태'는 '도롱태'의 제1음절이 '도'에서 '죠'로 변화한 것인데, 이들의 변화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
---|---|
이형태/이표기 | 도태, 되롱태, 죠롱태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