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꾸리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학명
- Misgurnus anguillicaudatus
- 「001」미꾸릿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20cm 정도이며, 등 쪽의 반이 어두운 남갈색이고 배 쪽의 반이 연한 청색이다. 옆구리에는 어두운 갈색 세로줄이 있고 입가에는 다섯 쌍의 수염이 있다. 비늘은 피부에 묻혀 있고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연못이나 논두렁 및 수로에 많이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역사 정보
믯구리(15세기)>믜리(16세기)>밋구리(18세기)>미꾸리(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꾸리’의 옛말인 ‘믯구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미끄럽다’ 또는 ‘미끄러지다’와 관련이 있는 ‘믯다’의 어간 ‘미끌’과 어원을 알 수 없는 ‘구리’가 결합하여 형성되었다. ‘믯그리, 밋구리, 믯그리, 믜ㅅ그리’ 등의 이표기가 있으나 현재의 어형인 ‘미꾸리’는 첫음절이 ‘ㅢ’에서 ‘ㅣ’로 단모음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단모음화 현상은 19세기에 일반적으로 확산되나 ‘미꾸리’의 경우 ‘밋구리’가 18세기 문헌에서 확인된다. ‘미꾸리’의 둘째 음절 ‘꾸’는 경음화되었다고 보기보다는 원래 경음으로 발음된 것으로 표기법의 문제로 여러 가지 이표기로 쓰이다가 20세기에 현대 맞춤법이 정착되면서 현재 어형으로 정착되었다고 생각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믯구리, 믯그리, 믜ㅅ그리, 밋구리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