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두루마기

- 품사
- 「명사」
- 「001」우리나라 고유의 웃옷. 주로 외출할 때 입는다. 옷자락이 무릎까지 내려오며, 소매·무·섶·깃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 어른께 큰절을 올릴 때 두루마기를 벗는 것은 예에 어긋난다.
- 김사용은 대견해하는 따스한 눈길을 염상진에게 보내며 두루마기의 긴 고름을 유연한 손놀림으로 매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도량^창옷(道場창옷), 요령, 주막의(周莫衣), 주의(周衣), 주차-의(周遮衣)
- 참고 어휘
- 사규-삼(四䙆衫)
- 지역어(방언)
- 두루막(강원, 경상, 전남, 제주, 충청, 평안), 두루매(강원), 두루매기(강원, 경기, 경상, 전라, 제주, 충청), 두르매기(강원, 경남, 전북, 함남), 후루마기(강원, 전북, 제주, 충청), 후루매(강원, 함남), 후루매기(강원, 경기, 전남, 충청), 돌뫠기(경기), 두자(경기, 황해), 둔자(경기, 황해), 둘우지(경기), 후루막(경기), 두르막(경남), 두리매기(경남), 두리막(경북), 둘막(경북, 전남), 두루매이(경상), 두루맹이(경상), 들매기(경상, 전남, 평안, 황해), 두룸배기(전남), 둘매기(전남, 평북), 후루매이(전남), 후루맹이(전남), 후르매기(제주, 충북), 후리막(제주, 황해), 후리매(제주), 후리메(제주), 두룸매기(충남), 둘마기(충북), 웃-걸이(평북), 주(평북), 두루징이(평안), 제마기(평안), 두루지(함경), 두링이(함경), 제대기(함경), 제매기(함경), 지매기(함경), 쿠루매기(함경), 두둥다리(함남), 두레(함남), 두레이(함남), 두렝이(함남), 두루박(함남), 두리(함남), 뚜루지(함남), 지메기(함남), 지박(함남), 구루매(함북), 두루-옷(함북), 두룽(함북), 저마기(함북), 저매기(함북), 제맥(함북), 쿨루매(함북), 두러지(황해)
역사 정보
두루막이(18세기~19세기)>두루마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두루마기’의 옛말인 ‘두루막이’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며, 19세기에는 '두루막' 형태로 나타나다가 20세기 이후 '두루막이'를 연철 표기 한 '두루마기'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루막이, 두루막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