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누에고치]
- 품사
- 「명사」
- 분야
-
『농업』
- 「001」누에가 번데기로 변할 때에 실을 토하여 제 몸을 둘러싸서 만든 둥글고 길쭉한 모양의 집. 명주실을 뽑아 내는 원료가 된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누에-꼬치(강원, 경기, 충북), 누예-꼬추(강원, 충북), 누예-꼬치(강원, 경기, 충북), 누왜-고치(강원), 눙엣-고치(강원), 뉘에-고치(강원), 누에-꼬추(경기), 눼-고추(경기), 눼-꼬치(경기), 뉘에-꼬초(경기, 전북), 뉘예-꼬추(경기, 전남, 충북), 뉘예-꼬치(경기, 전남, 충북), 뉘-꼬치(경남, 충북), 니-꼬치(경남), 부-꼬치(경남), 푸-꼬치(경남), 누예-고치(경북), 눙에-꼬치(경북, 충북), 풀-꼬치(경북), 눼-고치(전남), 뉘에-꼬추(전남), 뉘엣-고추(전남), 뉘에-꼬치(전라), 뉘-고치(전북), 뉘어-고초(전북), 뉘어-꼬초(전북), 뉘어-꼬치(전북), 누에-집(제주), 누엣-집(제주), 누웨-고치(제주), 뉘-꼬추(충북), 느베-고치(함북), 느벳-고티(함북)
- 옛말
- 누에-고티
역사 정보
누에고티(15세기~17세기)>누에고치(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누에고치’의 옛말인 ‘누에고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누에고티’는 ‘누에’와 ‘고티’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반모음 앞에서 ‘ㅈ, ㅊ’로 변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고티’가 ‘고치’로 변하여 18세기에는 ‘누에고치’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누엣고티’는 ‘누에’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한 ‘누엣’과 ‘고티’가 결합한 것이다. 19세기의 ‘누에치’는 관형격 조사 ‘ㅅ’이 탈락하면서 후행하는 초성 ‘ㄱ’을 경음화시키고, 구개음화를 반영한 ‘고치’에 종성 발음이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누에고티, 누에고치, 누엣고티, 누에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