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누에고치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농업』
「001」누에가 번데기로 변할 때에 실을 토하여 제 몸을 둘러싸서 만든 둥글고 길쭉한 모양의 집. 명주실을 뽑아 내는 원료가 된다.

역사 정보

누에고티(15세기~17세기)>누에고치(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누에고치’의 옛말인 ‘누에고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누에고티’는 ‘누에’와 ‘고티’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반모음 앞에서 ‘ㅈ, ㅊ’로 변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고티’가 ‘고치’로 변하여 18세기에는 ‘누에고치’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누엣고티’는 ‘누에’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한 ‘누엣’과 ‘고티’가 결합한 것이다. 19세기의 ‘누에치’는 관형격 조사 ‘ㅅ’이 탈락하면서 후행하는 초성 ‘ㄱ’을 경음화시키고, 구개음화를 반영한 ‘고치’에 종성 발음이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누에고티, 누에고치, 누엣고티, 누에치
세기별 용례
15세기 : (누에고티)
절로 살오 절로 주구미 누에고티예 잇 며 ≪1447 석상 11:35ㄱ
無量罪垢의 얼규미 외야 能히 나디 몯호미 누에고티예 이숌 다 ≪1465 원각 상1-1:44ㄱ
17세기 : (누에고티, 누엣고티})
면견산은 누에고티  나 모로미 나 나고 속 뷔니 어더 ≪1608 언두 하:64ㄱ
蠶蛹子 누엣고티예 본도기 ≪1613 동의 2:8ㄴ
18세기 : (누에고치)
呑繭 누에고치1790 몽보 33ㄴ
19세기 : (누에치)
누에치 蠶繭 ≪1880 한불 29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