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노느다]
활용
노나[노나], 노느니[노느니]
품사/문형
「동사」 【(…과) …을】【…을 …으로】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여러 몫으로 갈라 나누다.
어젯밤 늦게까지 빚은 만두를 집안 식구들과 함께 노나 먹었다.
한 마지기에 석 섬 마수나 타작을 하였대도 반은 답주인 강 도사 집으로 들어가니, 그것을 노느면 한 사람 앞에 한 가마니도 차례가 가지 못한다.≪심훈, 상록수≫
그는 재산을 둘로 노나서 자식들에게 주었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호다(15세기~19세기)>논호다(16세기~17세기)>노느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노느다’의 옛말인 ‘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호다’의 제1음절 모음 ‘ㆍ’가 ‘ㅗ’로 변화하여 ‘논호다’로 나타난다. ‘논호다’의 제2음절 초성 ‘ㅎ’이 ‘ㄴ’과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면서 제1음절 종성 ‘ㄴ’이 연철되고, 제2음절 모음 ‘ㅗ’가 ‘ㅡ’로 변화하면서 19세기에 ‘노느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호다, 논호다, 노느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호다)
부텻 舍利 이대 호아 供養 리니 ≪1447 석상 23:54ㄴ
이 모도아 讚歎고 아래 화 讚歎오니라 ≪1464 영가 서:6ㄴ
陰과 陽괘 어드우며 고 횃도다1481 두시-초 13:1ㄱ
16세기 : (호다, 논호다)
가야온 지므란  뫼호고 므거운 지므란 호고1518 번소 3:33ㄱ
각각 겨집 어든 후에 모 며느리들히 논화 닫티 사져 고 ≪1518 이륜-옥 7ㄱ
17세기 : (호다, 논호다)
다 푼 세헤 화 믈에 플어 머규 ≪1608 언두 상:43ㄱ
댱과 화병이 논화 두  알디니 ≪1612 연병 3ㄴ
18세기 : (호다)
大姐姐의 一半粧奩을다가 화 뎌 주어 ≪≪1721 오륜전비 3:31ㄴ
19세기 : (호다, 노느다)
형뎨 아홉 사이 화 아홉 고을 읏드미 되니 ≪1832 십구 1:1ㄴ
옷 두벌이 이면 노나 옷 업산 쟈 주고 ≪1887 성전 누가복음 3:1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