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기장쌀]
품사
「명사」
「001」찧어서 껍질을 벗긴 기장 열매.

관련 어휘

옛말
기-

역사 정보

기(15세기)>기장(16세기~19세기)>기장쌀(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기장쌀’의 옛말인 ‘기’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기’은 ‘기’과 ‘’이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기’의 제2음절의 종성 ‘ㆁ’이 ‘ㅇ’으로 표기가 바뀌어 ‘기장’으로 변함에 따라 ‘기장’로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은 ‘’을 거쳐 ‘쌀’로 변하였는데 ‘’이 결합한 ‘기장’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까지는 ‘기장’이 ‘기장’ 등으로 나타난 예는 확인되지 않으나 20세기 이후 ‘기장쌀’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기, 기장, 기쟝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기)
中惡證이 웃 입시울 안 보  거시 기 니 잇니 바로  아 디니라 ≪1466 구방 상:18ㄱ
쥐을  기만 머고 먹디 몯거든 므를 져기야 프러 목의 녀흐라 ≪1489 구간 1:57ㄱ
16세기 : (기장)
약을 먹디 아니커 늘근 암 믄 믈에 것 블근 기장로 쥭 수어 머기니 ≪1608 언태 33ㄴ
黍米 기장1613 동의 1:24ㄱ
18세기 : (기장)
기장 (黍米) ≪1799 제중 8:21ㄴ
19세기 : (기쟝)
기쟝 (稷米) ≪1868 의종 35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