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담ː배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학명
Nicotiana tabacum
「002」가짓과의 한해살이 식물. 높이는 1.5~2미터이며, 40여 개의 넓고 길쭉한 잎은 어긋나고 줄기에 촘촘히 난다. 여름에 깔때기 모양의 연분홍 꽃이 줄기 끝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삭과(蒴果)로 10월에 맺는다. 공예 작물로 재배하는데 잎을 건조시켜 담배를 만든다.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역사 정보

담(18세기~19세기)>담배(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담배’의 옛말인 ‘담’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포르투갈어 ‘tabaco’가 일본에 들어가 ‘tabako’가 되었는데, 이것이 수용되어 변화되면서 ‘담’로 나타난 것이다. 16세기 중반에 제2음절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함에 따라 ‘ㆎ’가 ‘ㅐ’로 바뀌어 19세기에는 ‘담배’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담베’는 ‘담’의 모음 ‘ㆎ’가 ‘ㅔ’로 변화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담, 담베, 담배
세기별 용례
18세기 : (담)
담 煙帒 담ㅅ대 吃煙 담 먹다 ≪1790 몽해 상:47ㄴ
19세기 : (담, 담베, 담배)
본시 셔흥 살며 담 쟝더니 ≪1895 치명 160ㄴ
슐과 담베 외양의셔 슈셰기 즁히 고 ≪1883 이언 1:14ㄱ
담배 覃婆 南草 ≪1895 국한 69

다중 매체 정보(1)

  • 담배

    담배

관용구·속담(3)

속담담배는 꽁초 맛에 피운다
담배가 떨어져 꽁초를 말아 피우는 맛이 아주 좋다는 말.
속담담배는 꽁초 맛이 제일
무엇이든지 풍족할 때는 잘 모르나 부족하거나 없을 때에는 그 참된 맛을 더욱 느끼게 된다는 말.
속담담배 잘 먹기는 용귀돌(龍貴乭)일세
옛말에 나오는 용귀돌이처럼 담배를 아주 즐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