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잗ː따

- 활용
- 자아[자아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2」물레 따위로 섬유에서 실을 뽑다.
- 명주실을 잣다.
- 여편네들은…미역밭에 나가 물질할 엄두를 못 내고 집에서 물레로 양말 짤 실을 잣거나….≪현기영, 순이 삼촌≫
역사 정보
다(16세기~19세기)>잣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잣다’의 옛말인 ‘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나타났다. 16세기 이후로 ‘ㅿ’이 사라지면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나타나던 ‘-’은 ‘-’로 변화하였다. 근대 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지면서 19세기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자-’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잣-’으로 나타났을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자-/잣-’의 교체를 보이는 ‘ㅅ’ 불규칙 용언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 -, -, 자-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