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점ː잔타

- 활용
- 점잖아[점ː자나



- 품사
- 「형용사」
- 「001」언행이나 태도가 의젓하고 신중하다.
- 점잖은 노인.
- 점잖게 차려입은 신사.
- 점잖고 우렁찬 목소리.
- 점잖게 말하다.
- 점잖게 행동하다.
- 그는 점잖은 사람이다.
- 삼십이 채 못 된 젊은 사람들인데 수염을 길러 무척 점잖아 보였다.
- 태운의 점잖은 대답에 중철이 먼저 웃음을 터뜨렸고, 태운도 뒤따라 웃기 시작했다.
- 그녀의 남편은 그냥 웃으면서 농담도 그런 농담이 어디 있느냐고 점잖게 나무랄 뿐이었다.≪문순태, 피아골≫
- 어허, 점잖으신 체면에 이러시면 쓰나.≪김성동, 풍적≫
역사 정보
졈디 아니다(18세기)/졈디 아니다(18세기)>졈지 아니다(18세기)>졈잖다(19세기)>점잖다(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점잖다’의 옛말은 18세기 문헌에서 ‘졈디 아니다’로 나타난다. 그러나 아직 이때는 ‘나이가 어리지 않다’의 의미로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19세기에 들어서면 ≪천로역정≫에서 볼 수 있듯이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게 된다. ‘졈디 아니다’가 축약되어 ‘*졈댢다’와 같은 형태가 생겨났는데 여기에 구개음화가 적용되어 ‘*졈쟎다’란 형태가 생겨나게 되었다. 여기에 ‘ㅈ’ 아래에서의 ‘ㅕ, ㅑ’의 반모음 ‘ㅣ’가 탈락한 결과 오늘날의 ‘점잖다’가 형성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졈디 아니다, 졈디 아니다, 졈지 아니다, 졈잔타, 졈잖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점잖은 개가 똥을 먹는다
- 의젓한 체하면서 못된 짓을 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