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읍따

- 활용
- 읊어[을퍼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억양을 넣어서 소리를 내어 시를 읽거나 외다.
- 시를 읊다.
- 풍월을 읊다.
- 그는 농부가를 즉흥적으로 읊었다.
- 최근에는 시조를 읊는 사람이 거의 없다.
- 어쨌든 북 치고, 장구 치고, 소리 읊고, 요란할 것 같은데?≪이인성, 그 세월의 무덤≫
- 조용히 손을 들어서 무릎을 두드리며 속으로 시조의 한 구절을 읊기 시작하던 태공은, 그 시조를 끝을 맺지 않고 몸을 바로 일으켰다.≪김동인, 젊은 그들≫
- 흥선은 오른손을 들어서 무릎을 한 번 툭 치며 그가 즐겨서 부르는 시조 한 마디를 읊기 시작하였다.≪김동인, 운형궁의 봄≫
- 젊은이가 시를 읊듯이 목청을 가다듬고 맹랑한 내용의 글을 낭송하기 시작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 구례의 선비들은 황매천이 남긴 유시를 슬픈 목소리로 읊으면서 통곡했다.≪문순태, 피아골≫
역사 정보
잎다(15세기~17세기)>읖다(16세기~17세기)>읊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읊다’의 옛말인 ‘잎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팔종성법에 따라 ‘입-’으로 나타났다. 16세기에는 모음 ‘ㅣ’가 ‘ㅡ’로 바뀐 ‘읖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17세기에는 어간말 자음 ‘ㅍ’ 앞에 ‘ㄹ’이 첨가된 ‘읊다’ 형태가 등장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6세기 문헌에는 ‘읖-’을 중철 표기한 ‘읍ㅍ-’의 예가 나타나며, 17~18세기 문헌에는 ‘읊-’을 중철 표기한 ‘읇ㅍ-’의 예도 보인다. 18~19세기 문헌에 나타나는 ‘읇ㅎ-’은 ‘읊-’의 ‘ㅍ’을 ‘ㅂㅎ’으로 재음소화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잎-, 입-, 읖-, 읍-, 읍ㅍ-, 읊-, 읇-, 읇ㅍ-, 읇ㅎ-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