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외ː다


- 활용
- 외어[외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3」같은 말을 되풀이하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에우다(강원, 경상, 전남, 충남,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오이다(강원, 충북, 평안), 에다(경기), 애다(경남, 전남), 애우다(경남, 전남, 평북), 에야다(경남), 외아다(경남), 위아다(경남), 왜우다(경북, 평안,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웨다(경북, 충북), 위우다(경북, 중국 흑룡강성), 이우다(경북, 전남, 중국 흑룡강성), 오우다(경상, 중국 흑룡강성), 웨우다(경상, 제주, 평북, 중국 흑룡강성), 예우다(전라, 평안,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위다(충북), 따루-내다(평북), 따루-뇌다(평북), 따루-왜다(평안), 따루-하다(평안), 따리우다(평안), 소다(함남), 때우다(함북)
역사 정보
외오다(15세기~19세기)>외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외다’의 옛말 ‘외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외오다’는 19세기 문헌까지 나타나는데, 19세기에는 ‘외-’도 보이기 시작한다. ‘외-’는 ‘외오-’의 ‘외와’와 같은 활용형이 ‘외아’ 같이 원순성이 있는 반모음 ‘w’가 빠진 활용형을 가지기도 하면서 어간이 재구조화된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외야’ 같은 활용형은 ‘외-’로 완전히 재구조화된 뒤에 나타난 어형으로 볼 수 있다. ‘외-’는 19세기부터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외오다, 외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