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올챙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동물』
「001」개구리의 유생. 몸통은 둥글며, 꼬리가 있다. 꼬리로 물속을 헤엄쳐 다니는데 자라면서 꼬리가 없어지고 네 다리가 생겨 개구리가 된다.
우리는 냇가에서 올챙이를 잡으며 놀았다.
얕은 물에는 올챙이 수십 마리가 헤엄치고 있다.
할머니, 물 빠지면 올챙이들 다 죽어요, 꼭 물 넣어 주세요. 꼭이요.≪박경리, 원주 통신≫
힘차게 꼬불거리며 헤매는 올챙이들은 내가 병신이 아니라는 것을 율동으로 증명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관련 어휘

비슷한말
과두(蝌蚪), 현어(玄魚), 현침(懸針)
지역어(방언)
올채이(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평안, 함경, 황해,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올청이(강원), 월챙이(강원, 충북, 함남, 황해), 소굴챙이(경남), 올구채이(경남), 올구챙이(경남), 올그채이(경남), 탱고리(경남), 홀챙이(경남, 충남), 솔구챙이(경북), 앙굴챙이(경북, 중국 흑룡강성), 오골챙이(경북), 오글채이(경북), 오글챙이(경북), 올고채이(경북), 올고챙이(경북), 올굴챙이(경북), 올차이(경북), 올창이(경북, 전남, 충북), 올칭이(경북, 충남, 중국 흑룡강성), 홀창이(경북), 홀채(경북), 오골채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오굴채이(경상), 오굴챙이(경상), 올그챙이(경상), 올치(경상), 홀채이(경상, 제주), 꾸리-밤망치(전남, 평북), 꿀-방망치(전남), 꿀-방맹이(전남), 방망치(전남), 보깨이(전남), 보깽이(전남), 복챙이(전남), 뽀깨이(전남), 얼챙이(전남), 월채이(전남), 졸-복(전남), 졸-복젱이(전남), 복쟁이(전라), 가가비-새끼(제주), 간비녁(제주), 간비역(제주), 강-베록(제주), 강-벼리(제주), 강베리(제주), 겡-버리(제주), 겡베리(제주), 고노리(제주), 매주기(제주), 멘주기(제주), 멘주애기(제주), 멘줴기(제주), 올치이(충남), 머거리(평북), 올채(함북)
옛말
올, 올이

역사 정보

올(15세기)>올이(16세기)>올창이(16세기~19세기)>올챙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올챙이’의 옛말인 ‘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올’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올이’가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ㅣ모음역행동화 현상에 따라 ‘올창이>올챙이’로 변화하였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올챙’은 특이한 예인데, 이를 통해 이미 19세기에 ‘올창이’가 ‘올챙이’로 바뀌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올, 올이, 올창이, 올챵이, 올챙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
올 爲蝌蚪 ≪1446 훈해 58
16세기 : (올이, 올창이)
올이 과, 蚪 올이 두, 蛞 올이 활 ≪1527 훈몽 상:12ㄴ
올창이 과, 蚪 올창이 두 ≪1576 신합 상:15ㄴ
17세기 : (올창이)
蝌蚪 올창이1690 역해 하:36ㄱ
18세기 : (올창이)
蝌蚪 올창이1748 동해 하:42ㄱ
19세기 : (올창이, 올챵이, 올챙)
올창이 蛙子 ≪1880 한불57≫
올챵이 蝌斗 ≪1810 몽유 상:18ㄴ
올챙 蝌蚪 ≪1895 국한 221

다중 매체 정보(1)

  • 올챙이

    올챙이

관용구·속담(3)

속담올챙이 개구리 된 지 몇 해나 되나
어떤 일에 좀 익숙하여진 사람이나, 가난하다가 형편이 좀 나아진 사람이 지나치게 젠체함을 비꼬는 말.
속담올챙이 물로도 못 다니게 되였다
유리한 생활 조건이 없어져서 형편이 아주 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올챙이 적 생각은 못 하고 개구리 된 생각만 한다
형편이나 사정이 전에 비하여 나아진 사람이 지난날의 미천하거나 어렵던 때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처음부터 잘난 듯이 뽐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