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주머님

- 품사
- 「명사」
- 「001」‘아주머니’의 높임말.
- 설창 큰집 아주머님이 아무나 잡고 아들 면회 가 봤느냐고 묻는다던 친정 엄마의 말이 생각났기 때문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역사 정보
아마님(15세기~19세기)>아주머님(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주머님’의 옛말인 ‘아마님’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판본 자료에는 ‘아마님’의 예가 16세기 이후로 확인되지 않지만, 근대국어 시기에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ㅜ’로 바뀌고 제3음절의 모음 ‘ㅏ’가 ‘ㅓ’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아주머님’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판본 자료에서 확인되는 15세기의 ‘아마님’은 “이모”의 뜻을 갖는다. 그러나 16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한글편지에서는 ‘아마님’이 “이모” 외에 “숙모, 형수, 제수” 등의 의미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현대 국어에서는 ‘아주머님’이 친족 범위를 넘어 남남끼리 결혼한 여자를 이르는 데 쓰이게 되었다. ‘아마님’은 “아주머니”의 옛말이 ‘아미’에 호격 조사 ‘-아’가 결합한 ‘*아마’에 접미사 ‘-님’이 결합한 존칭어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아마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