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리다발음 듣기]
활용
아리어[아리어발음 듣기/아리여발음 듣기](아려[아려]), 아리니[아리니]
품사/문형
「형용사」 【…이】
「001」혀끝을 찌를 듯이 알알한 느낌이 있다.
마늘을 깨물었더니 혀가 아리다.
날감자를 한 입 베어 물자 혀가 아린 듯했다.
김치가 매우면서도 아렸다.

역사 정보

알히다(15세기~17세기)>아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의 ‘아리다’의 옛말인 ‘알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알히다’는 “앓다”라는 뜻의 ‘앓-’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형용사이다. ‘알히다’는 제2음절의 ‘ㅎ’이 탈락하면서 ‘알이다’가 되고 이 ‘알이다’가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어 ‘아리다’가 된다.
이형태/이표기 알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알히다))
피 나고 알히닐 고툐 ≪1466 구방 상:7ㄱ
16세기 : ((알히다))
고곰도 알히며 눈도 알히며 ≪16세기 장수 54ㄱ
17세기 : ((알히다))
역 후에 눈이 브어 알히며 혹 블근 핃줄이 도며 ≪1608 언두 하:53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