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수선거리다발음 듣기]
활용
수선거리어[수선거리어/수선거리여](수선거려[수선거려]), 수선거리니[수선거리니]
품사
「동사」
「001」정신이 어지럽게 자꾸 떠들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숫두리다(15세기)>숫두워리다(15세기~17세기)>수워리다(15세기)/수워리다(15세기)/수어리다(15세기)/수어리다(15세기)>수으워리다(17세기)/수우워리다(17세기)/수으어리다(17세기)>숫두어리다(17세기~18세기)>수선거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수선거리다’의 옛말인 ‘숫두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숫두리다’는 용언 어간 ‘숫두-’와 ‘버리-’가 어간이 직접 합성되어 형성된 동사로 추정된다. 이 앞부분 동사에 해당하는 ‘숫두-’는 단독으로 쓰인 예가 없지만 ‘수-’는 15세기에 상당한 예를 보여 준다. ‘수-’와 ‘수-’가 통합된 합성어는 ≪남명집언해≫의 2개의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두시언해≫에서 나타났다. 반면 ‘숫두’로 시작하는 어형들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문헌에서 다양한 시대에 나타났으므로 한 시기에 같은 뜻으로 공존했던 다른 계열의 어형이었다고 보는 것이 좋다. ‘수-’와 ‘수-’ 중에서는 ‘수-’가 더 많은 단독형을 보여주며 합성 동사의 예도 더 많으므로 ‘수-’의 제1음절에 제2음절이 동화하여 변화된 어형이 ‘수-’로 보인다. 이 어형들은 ≪두시언해≫ 초간본에서 ‘ㅿ’으로 나타나던 것이 중간본에서 ‘ㅇ’으로 바뀌었는데 ‘수어리-’의 대응형인 ‘수우어리다’만 나타나지 않는다. 역시 ‘수어리-’는 ‘수어리-’를 기본으로 하여 활용 단계에서 임시적으로 생겨난 어형이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숫두리다’의 두 번째 요소인 ‘리다’는 ‘떠벌이, 떠벌리다’에 남아 있는 ‘버리다’이다. 이때 ‘버리다’가 합성어에 참여하면서 ‘ㅂ’은 약화되어 ‘ㅸ’으로 바뀌어 ‘~리다’로, ‘ㅸ’은 다시 원순성 있는 반모음 ‘w’로 바뀌어 ‘~워리다’, ‘w’도 탈락되어 ‘~어리다’로 바뀌게 되었다. 18세기까지 나타나는 이들 어형과 현재 같은 뜻으로 쓰이는 ‘수선거리다’의 직접적인 변화 과정, 특히 ‘수선’의 변화 과정은 자음의 유사성 외에 추적하기 힘들다. 다만 ‘거리다’는 ‘~어리다’에서 ‘버리다’를 복원할 수 없었던 화자들이 이를 접미사 ‘거리다’로 잘못 분석해 냈을 가능성이 크다. ‘수선거리다’는 20세기 이후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숫두리다, 숫두워리다, 수워리다, 수워리다, 수어리다, 수어리다, 숫두어리다, 수으워리다, 수우워리다, 수으어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숫두리다, 숫두워리다, 수워리다, 수워리다, 수어리다, 수어리다))
말이 재야 숫두리더니1447 월곡 58ㄱ
員의  안핸 숫두워려 블로미 업도다 ≪1481 두시-초 9:31ㄱ
富貴예 갓 머리 돌아 라고 수워려1481 두시-초 20:8ㄴ
엇뎨 져비 새 수어리미 업스리오 ≪1481 두시-초 21:10ㄱ
녀름지 사미 오히려 수워리놋다1481 두시-초 12:11ㄴ
며 軍旅의 수어류믈 免호라 ≪1481 두시-초 19:39ㄴ
17세기 : ((숫두워리다, 숫두어리다, 수으워리다, 수우워리다, 수으어리다))
小人 甚히 숫두워리다 내 므스그라 오래 嗟嘆거뇨 ≪1632 두시-중 1:18ㄴ
숫두어리다 (鬨然) ≪1657 어록-초 11ㄴ
보 녀름지을 사미 오히려 수으워리롯다1632 두시-중 12:10ㄴ
먼 村애 가 사롤 이 다시 議論야 수우워리  避야 ≪1632 두시-중 9:9ㄴ
조 놀라 새 수으어류믈 듯고 ≪1632 두시-중 11:49ㄴ
18세기 : ((숫두어리다))
일와 반급을 여러히 숫두어리며 모다 싀긔고 ≪1765 경세 11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