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서글프다

- 활용
- 서글퍼[서글퍼


- 품사
- 「형용사」
- 「001」쓸쓸하고 외로워 슬프다.
- 서글픈 신세.
- 서글픈 표정.
- 서글픈 노래.
- 홀로 이 긴긴밤을 지새워야 하는 내 모습이 그저 서글프기만 하다.
- 그는 여러 번 최전방까지 나와 봤지만 이번처럼 미군 병사들이 처참하고 가련하고 서글퍼 보인 적은 결코 없었다.≪홍성원, 육이오≫
- 나도 나이가 들고 보니 세월이 서글퍼서 한숨이 나올 때가 있다.≪박경리, 토지≫
- 정인의 목멘 소리에 이내 눈물이 글썽해지는 열 살짜리 영희의 얼굴보다 훈이의 그런 어른스러움이 더욱 서글펐다.≪이문열, 영웅시대≫
- 내가 시험에 합격하여 형에게 찾아갔을 때 형은 서글픈 눈빛으로 나를 바라보며 말했다.≪김용성, 도둑 일기≫
- 평생을 공산주의 운동에 바쳐 나이 많은 몸으로 파르티잔까지 된 사람의 말로가 너무나 서글프게 느껴지기도 했다.≪이병주, 지리산≫
- 나의 물음에 그녀는 고개를 저으며 서글프게 웃었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서글프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서글프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쓰인다. 이 단어는 ‘슬퍼하다’의 뜻인 ‘서긇-’과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인 ‘-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17세기에 보이는 ‘서그프다’는 ‘서글프다’의 ‘ㄹ’이 탈락한 것인데 ‘ㄹ’ 받침을 가진 용언들 중에는 ‘ㄹ’이 유지될 경우와 ‘ㄹ’이 탈락될 경우 모두 사용되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ㄹ’이 유지된 ‘서글프다’로 정착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서그프다, 서글프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