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새기다발음 듣기]
활용
새기어[새기어발음 듣기/새기여발음 듣기](새겨[새겨]), 새기니[새기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4」글이나 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다.
어려운 글을 쉽게 새겨 주다.
이 말의 뜻을 새겨 보아라.
지금부터 내가 이 시를 새길 터이니 잘 들어 보시오.≪문순태, 타오르는 강≫
저는 방금 장 선생님이 하신 말씀조차 무슨 뜻인지를 새기지 못했어요.≪선우휘, 사도행전≫

역사 정보

사기다(15세기~18세기)>새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새기다’의 옛말인 ‘사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ㅓ, ㅏ’를 지닌 단어는 후행하는 ‘ㅣ’ 모음의 영향으로 각각 ‘ㆎ, ㅐ, ㅔ’가 되는 ‘ㅣ’ 모음 역행동화를 겪었는데 ‘사기다’ 또한 이러한 변화를 겪어 ‘새기다’가 되었다. 19세기부터 ‘새기다’가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색이다’는 ‘새기다’를 과도하게 분철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사기다, 색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사기다)
 正音으로 곧 因야 더 翻譯야 사기노니1459 월석 1서:6ㄱ
이 法華經을 바다 디녀 닑거나 외오거나 사겨 니르거나 쓰거나 면 ≪1447 석상 19:9ㄴ
解說은 사겨 니를 씨오 ≪1459 월석 15:42ㄱ
16세기 : (사기다)
字를 조차셔 사교 사겨 티 몯 곧이 잇거든 가 주 내여 사기니라1588 소언 범:1ㄴ
사길 강 ≪1576 신증 하:8ㄴ≫
17세기 : (사기다)
그 疏 곰 註를 사긴 배니 이제 鄭시 註에 本文을 推尋니 ≪1632 가언 1:42ㄴ-43ㄱ
破卦 과 사기다 選課 과 사기다1690 역해 상:64ㄱ
18세기 : (사기다)
論語孟子엣 말을 네  아디 못다 네 사기라 내 드르리라 ≪1721 오륜전비 4:6ㄱ
19세기 : (색이다)
색이다 釋義 ≪1895 국한 17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