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새기다

- 활용
- 새기어[새기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4」글이나 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다.
- 어려운 글을 쉽게 새겨 주다.
- 이 말의 뜻을 새겨 보아라.
- 지금부터 내가 이 시를 새길 터이니 잘 들어 보시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저는 방금 장 선생님이 하신 말씀조차 무슨 뜻인지를 새기지 못했어요.≪선우휘, 사도행전≫
역사 정보
사기다(15세기~18세기)>새기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새기다’의 옛말인 ‘사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ㅓ, ㅏ’를 지닌 단어는 후행하는 ‘ㅣ’ 모음의 영향으로 각각 ‘ㆎ, ㅐ, ㅔ’가 되는 ‘ㅣ’ 모음 역행동화를 겪었는데 ‘사기다’ 또한 이러한 변화를 겪어 ‘새기다’가 되었다. 19세기부터 ‘새기다’가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색이다’는 ‘새기다’를 과도하게 분철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사기다, 색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