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맵따발음 듣기]
활용
매워[매워발음 듣기], 매우니[매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고추나 겨자와 같이 맛이 알알하다.
매운 김치.
찌개가 맵다.
국이 매워서 많이 먹지 못했다.
그녀들은 아무도 아침을 먹지 못했고, 점심을 맵고 짠 국수나 비빔밥으로 때웠다.≪이문열, 그해 겨울≫
아침을 매운 대구탕으로 치르고 나서 선구는 사무소로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서기원, 이 성숙한 밤의 포옹≫
고추가 맵게 풀어진 개장은 입맛을 돋울 만도 했지만 도통 식욕이 당기질 않았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짜고 매운 것을 먹지 못하는 그로서는 여간 고통이 아니었다.≪이상문, 황색인≫
소태같이 쓴 짠지 쪽과 펄펄 뛰고 싶도록 매운 어리굴젓에 찬밥을 데워 먹고는 기운을 차려 다시 걷기를 시작하였다.≪심훈, 영원의 미소≫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맵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맵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어간이 교체되었다. 15세기 중엽 이후에 ‘ㅸ’이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 앞에서 ‘ㅗ/ㅜ’로 변화하면서 ‘-’은 ‘오-’로 변화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이중모음 ‘ㆎ’도 ‘ㅐ’로 변하였고,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맵다’가 되었다. 또한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오-’가 ‘매우-’로 변하여 ‘맵-, 매우-’로 교체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ㅂ’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 오-, 맵-, 매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오-)
惑 니르왇 미 고 카 利使ㅣ라 ≪1459 월석 11:125ㄴ
猛  씨라 ≪1447 석상 3:21ㄴ
모딘 귓거시며 毒 龍이며  믌결이며  미며 횟도 믌결이며 솟 므리며 스믜 므리며 믌 더품 뫼히며 ≪1459 월석 22:32ㄱ
體 반기 마새 딘댄 과 淡과 롬과 오미 和合과 俱生과 모 變야 다 相이 다  마시 외야 ≪1461 능엄 3:51ㄴ
16세기 : (-, 오-)
이  손 두미  다1510년대 번박 23ㄴ
올 엄 ≪1527 훈몽 하:6ㄴ
올 신 辣 올 랄 ≪1527 훈몽 하:6ㄴ
올 렬 ≪1527 훈몽 하:11ㄴ
올  武 올 무 ≪1527 훈몽 하:11ㄴ
17세기 : (-, 오-)
다1690 역해 상:53ㄴ
싄 것 온 것 파 마 강 부 염교 유독 거슬 머기디 말라 ≪1608 언두 하:40ㄱ
18세기 : (-, 오-)
釅酒 온술 酒龍多 술물ㅅ긔 만타 酒淡 술 지 아니다 ≪1778 방유 술부방언:1ㄴ
다1778 방유 술부방언:2ㄴ
구리기동을 달와 죄인이 안게 며 혹 디옥이 이시되 온 불을 려 죄인의게 가게 며 ≪1762 지장 중:4ㄱ
올 신 辛 ≪1781 왜해 상:48ㄴ
19세기 : (-, 오-, 맵-, 매우-)
대개 나물류에 오직 겨ㅣ 크게 능력이 잇서 것과 닉은 거시 다 온 맛시 잇고 ≪1892 성직 60ㄱ
맵다 味辣 ≪1895 국한 110
매울 신 辛 ≪1884 정몽 10ㄱ
매울 렬 烈 ≪1895 국한 1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