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맵따

- 활용
- 매워[매워


- 품사
- 「형용사」
- 「001」고추나 겨자와 같이 맛이 알알하다.
- 매운 김치.
- 찌개가 맵다.
- 국이 매워서 많이 먹지 못했다.
- 그녀들은 아무도 아침을 먹지 못했고, 점심을 맵고 짠 국수나 비빔밥으로 때웠다.≪이문열, 그해 겨울≫
- 아침을 매운 대구탕으로 치르고 나서 선구는 사무소로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서기원, 이 성숙한 밤의 포옹≫
- 고추가 맵게 풀어진 개장은 입맛을 돋울 만도 했지만 도통 식욕이 당기질 않았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짜고 매운 것을 먹지 못하는 그로서는 여간 고통이 아니었다.≪이상문, 황색인≫
- 소태같이 쓴 짠지 쪽과 펄펄 뛰고 싶도록 매운 어리굴젓에 찬밥을 데워 먹고는 기운을 차려 다시 걷기를 시작하였다.≪심훈, 영원의 미소≫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맵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맵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어간이 교체되었다. 15세기 중엽 이후에 ‘ㅸ’이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 앞에서 ‘ㅗ/ㅜ’로 변화하면서 ‘-’은 ‘오-’로 변화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이중모음 ‘ㆎ’도 ‘ㅐ’로 변하였고,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맵다’가 되었다. 또한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오-’가 ‘매우-’로 변하여 ‘맵-, 매우-’로 교체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ㅂ’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 오-, 맵-, 매우-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