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고르다발음 듣기]
활용
골라[골라발음 듣기], 고르니[고르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4」여럿이 다 높낮이, 크기, 양 따위의 차이가 없이 한결같다.
이익을 고르게 분배하다.
치아가 고르다.
고른 분포를 보이다.
방바닥이 고르지 않고 울퉁불퉁하다.
이 지역은 비가 연중 고르게 내린다.∕우리 팀 선수들은 고른 기량을 보인다.
이 지역은 비가 연중 고르게 내린다.
우리 팀 선수들은 고른 기량을 보인다.
차는 고르지 못한 노면 위를 질주하느라고 덜커덩거리며 정신없이 흔들렸다.≪김용성, 도둑 일기≫
내가 거기서 맡은 일은 주로 그 아홉 개의 방에 걸린 남포등이 항상 밝고 고른 빛을 내게 하는 것과 그 온돌을 밤새도록 따뜻하게 덥혀 놓는 것이었다.≪이문열, 그해 겨울≫

역사 정보

고다(15세기~19세기)>고르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고르다’의 옛말인 ‘고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고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고-’로 실현되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골ㅇ-’으로 실현되어 ‘고-/골ㅇ-’으로 교체되었다. 16세기에 ‘ㄹ’ 뒤에 오는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완전히 탈락하였는데 ‘골ㅇ-’의 경우도 이와 같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하여 17세기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한 자리에 ‘ㄹ’이 첨가되어 ‘골라’와 같이 ‘골ㄹ-’로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16세기에 제2음절의 ‘ㆍ’는 ‘ㅡ’로 변함에 따라 ‘고다’가 ‘고르다’가 되었는데, 문헌 상으로는 18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18세기부터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고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골ㄹ-’로 나타나면서 현재와 같이 ‘르’ 불규칙 동사에 된 것이다. 18세기의 ‘고로다’는 제2음절의 ‘ㆍ’가 제1음절 모음 ‘ㅗ’의 영향으로 ‘ㅗ’로 변화한 것이며 ‘골오다’는 ‘고로다’의 과잉 분철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고-, 골ㅇ-, 고로-, 골ㄹ-, 고르-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고-, 골ㅇ-)
世尊ㅅ 慈悲心에 나 바면 네 이 고디 몯리 ≪1447 월천 32ㄴ≫
츩 불휘 외야 론  넉 애 섯거 고게 야 국의 글혀 머그라 ≪1489 구간 1:12ㄴ
天南星ㅅ  半 돈과 白龍 腦ㅅ  一字와 뫼화 라 골아 조  븨여 덥게 면 니 절로 열리라 ≪1466 구급방 상:5ㄱ≫
16세기 : (고-)
 너브신 복이 하와 샤 도 고며 비도 슌야 ≪1510년대 번박 1ㄱ
17세기 : (고-, 골ㄹ-)
여러 가짓 役事 오직 고게 홀디니라 ≪1632 두시-중 23:12ㄱ
우  라 유 반 잔과 믈  잔의  골라 초젼의 흘리라 ≪17세기 마경 하:10ㄱ
18세기 : (고-, 고로-, 골ㄹ-, 고르-)
비와 볏치 고며 고로디 아니미 그 인쥬(人主)의  의 이시니 ≪1765 경세 19ㄱ
다시 거롬 수 골라 야 법대로 쵸탐야 알외라 ≪1787 병학 13ㄱ
비와 볏치 고며 고로디 아니미 그 인쥬(人主)의  의 이시니 ≪1765 경세 19ㄱ
고를 균 均 ≪1781 왜해 하:37ㄱ
19세기 : (고-, 고르-)
고다 擇 均 ≪1880 한불 193
고르다 調 ≪1880 한불 19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