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하는 눈의 능력. 눈으로 두 광점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광도나 그 밖의 조건이 동일할 때, 시각 세포의 분포 밀도가 클수록 좋다.
눈이 좋다.
눈이 밝다.
눈이 나빠 안경을 쓴다.

역사 정보

눈(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눈)
여슷 가짓 불휘 눈과 귀와 고콰 혀와 몸과 괘니 ≪1447 석상 13:38ㄴ
世尊ㅅ 일 리니 萬里外ㅅ 일이시나 눈에 보논가 너기쇼셔 ≪1447 월곡 1ㄱ
브르 太子 보더니 ≪1459 월석 22:42ㄴ
16세기 : (눈)
의 귀 눈을 마그며 天下를 더러온  디게 니 ≪1518 번소 8:42ㄴ
그 文王을 샤 눈에 사오나온 빗츨 보디 아니시며 ≪1588 소언 4:2ㄴ-3ㄱ
17세기 : (눈)
눈이 브어 디 몯거든 ≪1608 언두 하:54ㄱ
 턍고 고 입내 나면 죽고 ≪1608 언두 하:8ㄱ
18세기 : (눈)
뎌 二姐姐ㅣ 두 눈으로 사 흘긔기 잘니 ≪1721 오륜전비 2:37ㄴ
이제 뎡옥이 눈으로 보앗노라 ≪1756 천의 2:53ㄴ
자고져 야도 더옥 능히 눈을 브치디 못고 ≪1761 경문 29ㄴ
19세기 : (눈)
그 즁의  귀인이 이셔 발이 드리오고 눈이 크고 ≪1852 태상 1:43ㄴ
나히 늙고 눈이 어두오니 무 즐김이 잇리오 ≪1865 주년 40ㄴ

관용구·속담(5)

관용구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
사리 분별을 못하다.
  • 배고플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
  • 아들은 몇 달 돈 좀 벌어서 갖다주었다고 눈에 보이는 것이 없는지 아버지에게 막말을 한다.
관용구눈(을) 속이다
잠시 수단을 써서 보는 사람이 속아 넘어가게 하다.
  • 그는 부모님의 눈을 속여 가며 미술을 공부하였다.
관용구눈이 무디다
사물을 보고 깨닫는 힘이 약하다.
  • 이 사람은 눈이 무뎌서 봐도 잘 모른다.
속담눈이 보배다
눈썰미가 있어서 한번 본 것은 잊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눈이 아무리 밝아도 제 코는 안 보인다
제아무리 똑똑해도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