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저ː기

- 품사
- 「부사」
- 「001」꽤 어지간한 정도로.
- 적이 놀라다.
- 적이 당황하다.
- 해가 막 떨어진 뒤라 그런지 그녀의 웃음이 적이 붉게 보였다.≪김정한, 모래톱 이야기≫
- 그렇다면 별 큰일도 아니구나 싶어 적이 가슴이 가라앉았다.≪박용구, 산울림≫
역사 정보
져기(15세기~19세기)>저기(18세기)>적이(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적이’의 옛말인 ‘져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져기’는 ‘적다02’의 옛말인 ‘젹-’에 부사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치경음이었던 ‘ㅈ, ㅊ’이 구개음으로 변하면서 ‘져’와 ‘저’의 발음이 같아져서 18세기에는 ‘저기’ 형태가 나타나고, 19세기에는 분철 표기된 ‘적이’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중세국어의 ‘져기’는 “조금, 적게”의 의미로 현대 국어의 ‘적이’와는 의미 차이가 있었다. 한편 17세기의 중간본 ≪분류두공부시언해≫에 나타난 ‘뎌기’는 ‘ㅣ’ 모음이나 반모음 ‘ㅣ’에 선행하는 ‘ㄷ’이 ‘ㅈ’으로 변화하는 ㄷ구개음화 현상을 의식한 과도 교정 형태이다(ㄷ구개음화 현상은 17세기에 남부 지역에서 먼저 시작되어 18세기에 중부 방언에도 일어났는데, 중간본 ≪분류두공부시언해≫는 남부 방언을 반영하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져기, 저기, 적이, 뎌기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