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개미]
- 품사
- 「명사」
- 분야
-
『의학』
- 「001」겨드랑이나 오금 양쪽의 오목한 곳.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쟈개얌(16세기)>쟈긔아미(18세기)>자개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개미’의 옛말인 ‘쟈개얌’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의 ‘쟈개얌’에서 18세기의 ‘쟈긔아미’로의 변화는 ‘ㆍ’의 소실 시작으로 인한 제2음절의 모음 변화와 접사 ‘-이’의 결합 중 어느 것이 먼저 일어났느냐에 따라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즉, ‘쟈개얌-쟈얌-쟈긔얌-쟈긔야미’로의 변화와 ‘쟈개얌-쟈개야미-쟈야미-쟈긔야미’로의 변화 두 가지이다. ‘쟈긔얌’이나 ‘쟈개야미’라는 표기를 찾을 수 없어 선후 관계는 확정할 수 없다. 다만 20세기 이후 어형이 ‘자개미’라는 것을 생각할 때 제2음절이 더 후대까지 유지되는 ‘쟈개얌-쟈개야미-쟈야미-쟈긔야미’로의 변화 쪽이 좀 더 가능성이 높을 듯하다. ‘쟈개야미’ 단계에서 제3음절의 탈락하여 20세기 이후 ‘자개미’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자개미’는 “겨드랑이”라는 뜻의 용례만 발견되며 18세기의 ‘쟈긔아미’는 “허벅지 쪽의 오목한 곳”을 가리키는 예를 볼 수 있다. 함북 방언에서는 “겨드랑이”라는 의미로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쟈개얌, 쟈긔아미, 자개미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