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나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삶거나 볶거나 또는 날것으로 양념하여 무친 음식.
나물을 무치다.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과 아홉 가지 나물을 먹는다.
곰국에 갈비찜, 그리고 각가지 나물 등 푸짐한 음식이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명색이 죽이었으나 죽이 아니라 숫제 나물국이었다. 나물 사이에 쌀알이 간혹 몇 알 보일 뿐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보릿가루를 갈아다가 주기도 하고, 나물 섞어 지은 꽁보리밥을 소담스럽게 담아다가 주기도 했다.≪한승원, 해일≫
계숙은 들기름 냄새가 비위에 맞지 않는 나물 한 가지와 맨된장찌개로 아침을 먹고 약을 사 오려고 떠났다.≪심훈, 영원의 미소≫
혜관은 밥 한 숟가락에 밥 분량만큼 나물을 듬뿍 입속에 집어넣는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15세기~18세기)>믈(16세기~18세기)>물(18세기~19세기)>나물(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나물’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휴지(休止) 앞에서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 ‘/’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이미 15세기에도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조사 ‘-과/와’와 결합할 때 ‘’이 쓰인 예가 보이고 16세기 이후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도 ‘’이 쓰인 예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끝소리 ㅎ을 지닌 형태 역시 18세기까지도 문헌에 나타나고 있다.
16세기 이래로 제2음절 이하에서 ‘ㆍ’가 ‘ㅡ’로 바뀌는 변화가 있었는데, ‘’이 ‘믈’로 변화한 것도 이 시기의 일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화하는 원순모음화 현상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믈’도 ‘물’로 변화하였다. 또한 18세기에는 모음 ‘ㆍ’가 본래의 소리를 잃고 모음 ‘ㅏ’와 소리 구별이 사라지게 되면서 단어 첫 번째 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는데, ‘물>나물’의 변화는 이에 따른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 , 믈, 물, 나물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故人이 祿ㅅ  주고 이웃 지비 위안햇  주다 ≪1481 두시-초 22:14ㄴ
나못 여름과 콰 먹고 ≪1469 월석 20:88ㄴ
寂滅性 證닌 외야 욤 업서 오직  며 믈 기르며 緣 조차 마시며 ≪1482 남명 상:19ㄴ
햇 와  간과 고기와 雜 보 毒을 머그닐 고튜 ≪1466 구방 하:60ㄱ
16세기 : (/, , 믈)
안쥬를 포육과 젓과 호로  과 고 ≪1518 번소 10:32ㄱ
  蔬  소 ≪1527 훈몽 하:2ㄱ
齊衰 거애 사오나온 밥과 믈만 먹고 와 과시 먹디 아니더니라 ≪1518 번소 7:10ㄴ
三年 侍墓고 소곰이며  먹디 아니터라 ≪1514 속삼 효:16ㄱ
믈도 먹디 아니고 죽도록 헌옷 닙으니라 ≪1514 속삼 열:14ㄱ
17세기 : (, , 믈)
비로소 히며 실果 머그라 ≪1632 가언 9:22ㄱ
아븨 거상 니버셔 시묘 삼년 살며 와 과실도 먹디 아니여 ≪1617 동속 효:5ㄴ≫
삼년을 과 쟝을 아니 먹고 거상을 열닐곱  닙다 ≪1617 동신속 열4:82ㄴ≫
지아븨 상의 쥭 먹기 삼 년 고 소곰과 을 먹디 아니고 ≪1617 동신속 열5:67ㄴ≫
상복을 벗디 아니고 믈과 과실을 먹디 아니야 ≪1617 동신속 효6:55ㄴ≫
므슴 믈을 시므료 ≪1677 박언 중:33ㄴ
18세기 : (, , 믈, 물, 나물)
음식을 나오실 제 반시 보리밥과 드릣  이이 쟝만더시니 ≪1737 어내 2:95ㄴ
비록  마리 고기와  우흠 이라도 셩의 공궤홈이라 ≪1746 자성 외:7ㄱ
后ㅣ 書夜에 우르시고 三年이 도록 소곰과 믈을 자시디 아니샤 ≪1737 어내 2:55ㄱ
 다 믈은 업고 다만 저린 외 이시니 나그들의게 먹이쟈 ≪1765 청노 3:7ㄴ-8ㄱ
혀 됴흔 물 잇거든 가져 오라 ≪1790 몽노 4:11ㄱ
오곡과 실과와 나물지 나 셩실 거시 업서 ≪1783 유김재인서 3ㄱ
19세기 : (물, 나물)
물 ≪1897 국문 8ㄱ≫
날이 으 동니의 나물 파 늘그니 그 집의 드러갓더니 ≪1852 태상 4:35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