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긷

- 활용
- 깃만[긴만

- 품사
- 「명사」
- 「008」양복 윗옷에서 목둘레에 길게 덧붙여 있는 부분.
- 코트의 깃을 세우다.
- 그는 항상 웃옷의 단추를 다 채우고 깃과 소매를 반듯하게 해서 입었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옷-깃
- 지역어(방언)
- 애리(강원, 경북, 충북), 짓(강원, 경남, 함경), 짇(경북), 짓-때기(전남)
역사 정보
깃(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깃’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깃’이 결합한 합성어 ‘옷깃’의 15세기 어형이 ‘옷깆’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깃’은 본래 ‘*깆’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깆’은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깃’으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깆’으로 교체되었을 것이다. 16세기 이후 문헌에서는 모두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는 예만 나타나고 있어 현대 국어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도 ‘깃’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
---|---|
이형태/이표기 | 깃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