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긷발음 듣기]
활용
깃만[긴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8」양복 윗옷에서 목둘레에 길게 덧붙여 있는 부분.
코트의 깃을 세우다.
그는 항상 웃옷의 단추를 다 채우고 깃과 소매를 반듯하게 해서 입었다.

역사 정보

깃(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깃’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깃’이 결합한 합성어 ‘옷깃’의 15세기 어형이 ‘옷깆’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깃’은 본래 ‘*깆’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깆’은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깃’으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깆’으로 교체되었을 것이다. 16세기 이후 문헌에서는 모두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는 예만 나타나고 있어 현대 국어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도 ‘깃’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6세기 : (깃)
오 보라온 터리로 미론  시너 이쇼 다 다 비단오로 라 이시니   훠예 다 블근 실로 고 라 잇더라 ≪1510년대 번노 상:55ㄴ
녕 ≪1583 천자-석 41ㄴ
17세기 : (깃)
緣 거 깁을 니 안밧긔 各 두 치오 ≪1632 가언 1:45ㄱ
1690 역해 하:6ㄱ
18세기 : (깃)
領子 1778 방유 유부:24ㄴ

다중 매체 정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