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디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뽕나무의 열매.
뽕 따러 가는 엄마를 따라가서 오디를 너무 많이 따 먹었더니 혓바닥이 시커멓게 되었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상실(桑實), 상심(桑椹)
지역어(방언)
병-오두(강원), 뼝-오도(강원), 뼝-오두(강원), 뽕-오두(강원), 오동(강원, 경기, 제주), 오동에(강원), 오두(강원, 경북), 오둥에(강원), 오등애(강원), 포도(葡萄)(강원, 경북), 호디(강원, 경남), 뽕-밥(경기), 오둘개(경기), 오딩이(경기), 오지(경기), 니비-포두(경남), 뽕-따리(경남), 뽕나무-열매(경남), 뽕나무-포두(경남), 아들개(경남), 오돌개(경남, 전남, 충청), 오돌깨(경남), 오동-강새이(경남), 오둘깨(경남), 오들깨(경남), 오똘개(경남), 오랑-강새이(경남), 올렁-강생이(경남), 울렁-강새이(경남), 으드랑-강새이(경남), 호도(胡桃)(경남), 고둘-개(경북), 고들개(경북, 전남), 뽕-포두(경북), 오덜기(경북), 오돌기(경북), 오돼(경북), 오뒤(경북), 오디개(경북), 올롱(경북), 포고(경북), 포구(경북), 포두(경북), 뽕-딸(경상), 뽕-열매(경상, 함북), 오덜개(경상, 충청), 오들개(경상, 충남), 호두(경상), 고돌개(전남), 보두(전남), 오도게(전남), 오돌게(전남), 오두게(전남), 오둘게(전남), 오들게(전남), 오줄개(전남), 오질개(전남), 오드개(전라), 괴-밥(전북), 오대(전북, 충청, 황해), 오도-개(전북, 충남), 오두개(전북, 충청), 뽕남-여름(제주), 뽕낭-여름(제주), 뽕낭-요름(제주), 뽕낭-탈(제주), 오동-개비(제주), 오동게비(제주), 오등-게비(제주), 뽕-오대(충남), 오다(충남), 오데(충남), 오되(충남), 오둘기(충남), 오드와(충남), 오들기(충남), 오디기(충남), 오띠기(충남), 올댈개(충남), 우두(충남), 아동아(충북), 오도아(충북), 오도애(충북), 오동개(충북), 오동아(충북), 오동애(충북), 오두애(충북), 오두어(충북), 오둥어(충북), 오뒤이(충북), 오등개(충북), 오둥아(충청), 오주개(충청), 우다(충청), 애디(함남, 중국 흑룡강성), 뽀-오디(함북, 중국 길림성), 뽕-여르매(함북)
옛말
오, 오도

역사 정보

오(16세기~19세기)>오듸(18세기~19세기)>오디(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디’의 옛말인 ‘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오>오듸’의 변화는 16세기 이후 비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현상에 따른 것인데, 문헌상으로는 18세기에 비로소 ‘오듸’의 예가 보인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오듸>오디’로 변화하였다. 한편 15세기 ≪구급간이방언해≫에는 특이하게 ‘오도’ 형태의 예가 나타나는데, 다른 문헌에서는 이 형태가 확인되지 않는다. 19세기 ≪한불자전≫에는 ‘오뒤’와, ㄷ구개음화를 의식하여 ‘오디’를 과도 교정한 ‘오지’ 형태의 예도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오, 오듸, 오도, 오뒤, 오지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도)
椹子 오도1489 구간 6:8ㄱ
오도 블거니 하나 져그나 로니 시버 ≪1489 구간 6:8ㄱ
오도옷 업거든 블거니 해 외야  라 라 ≪1489 구간 6:8ㄱ-ㄴ
16세기 : (오)
오 심 ≪1527 훈몽 상:6ㄴ
17세기 : (오)
桑椹 오1690 역해 하:42ㄱ
18세기 : (오, 오듸)
桑椹 오1748 동해 하:5ㄴ
오듸 (桑椹子) ≪1799 제중 8:19ㄱ
19세기 : (오, 오듸, 오뒤, 오지)
오 오뒤 오지 椹 ≪1880 한불 58
오듸 桑實 ≪1880 한불 58
오듸심 椹 오듸을 비들기 먹다 鳩食桑椹 ≪1895 국한 218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