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쐐ː기

- 품사
- 「명사」
- 분야
-
『기계』
- 「002」물건의 틈에 박아서 사개가 물러나지 못하게 하거나 물건들의 사이를 벌리는 데 쓰는 물건. 나무나 쇠의 아래쪽을 위쪽보다 얇거나 뾰족하게 만들어 사용한다.
- 이은 곳이 꼭 맞지 않아 삐걱거리니 틈이 생긴 곳에 쐐기를 박아 고정해라.
- 염상진 위원장은 자신의 의지가 김범우 선생 쪽으로 흔들리지 못하게 하는 쐐기 역할을 해냈음을 정하섭은 스스로 깨닫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구사비(kusabi[楔]), 설(楔)
- 지역어(방언)
- 보첨(강원), 보첩(강원), 보춤(강원, 경기, 충북), 보침(강원, 충북), 뵈죽(강원), 쐐악(강원, 전라, 충북, 중국 길림성), 보작(경기), 쌕(경기, 충북), 쐐리(경기), 쐐알(경기), 쐘(경기), 보족(경남), 보죽(경남), 부족(경남), 사복(경남), 새끼(경남), 싸게(경남), 배족(경북), 보래(경북, 충남), 비족(경북), 비죽(경북), 새기(경북), 쇄미(경북), 쌔기(경북, 전북, 함경, 중국 길림성), 데작(전남), 배작(전남), 비적(전남), 새악(전남), 쇠악(전남), 쐬약(전남), 씨악(전남), 씨애기(전남), 쒸악(전라), 쉬악(전북), 쒸약(전북), 버국(제주), 샥(충남), 손-쐐기(충남), 수-쐐(충남), 쉐악(충남), 쌱(충남), 쏘애기(충남), 쏘약(충남), 쇄기(평북,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역사 정보
쇠야미(15세기)>쇠야기(16세기~18세기)>쐬아기(19세기)>쐐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쐐기’의 옛말인 ‘쇠야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후 16세기부터 18세기 문헌까지 ‘쇠야기’로 나타난다.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쐬아기’는 ‘쇠아기’가 어두 경음화에 의해 ‘ㅆ’이 되고 단모음화에 의해 ‘야’가 ‘아’로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쇠야미, 쇠야기, 쐬아기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관용구쐐기(를) 박다[치다]
- 뒤탈이 없도록 미리 단단히 다짐을 두다.
- 그 선수는 끝내기 홈런을 날려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 김 과장이 오늘 회의에서 아무 말도 하지 않도록 제가 미리 쐐기를 쳐 놓았습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