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럽따

- 활용
- 부러워[부러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남의 좋은 일이나 물건을 보고 자기도 그런 일을 이루거나 그런 물건을 가졌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이 있다.
- 부러운 눈빛으로 쳐다보다.
- 나는 공부 잘하는 철수가 부럽다.
- 이제는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다.
- 친구의 옷차림이 부러워서 한번 따라해 봤다.
- 우리는 우승한 다른 학교 선수들이 부러웠다.
- 무대에 서서 노래를 부르게 되었다는 것만으로 영애는 가수 부럽지 않았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힘만 있어도 포교 서너 놈 한주먹에 때려눕히고 들고 뛸 수 있을 것을 생각하니 꺽정의 힘이 새삼스럽게 부러웠다.≪홍명희, 임꺽정≫
- 금순이는 일곱 살에 미륵동으로 들어와서 부잣집 딸 부럽지 않게 물만 튀기며 고이 자라났다.≪이무영, 농민≫
- 무엇보다도 내 눈에 부러운 것은 그 집 목욕탕이었다.≪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 바람에 머리칼을 풀풀 날리며 가쁜한 걸음으로 사라지는 그들을 허정우는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부럽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럽다’는 19세기부터 현재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쓰이고 있다. 이 단어는 ‘불’과 ‘업’으로 이루어진 파생어인데 ‘-업-’은 ‘믿다/미덥다’와 같이 일부 동사에 붙어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어이다. 그러나 ‘부럽다’에서 ‘-업-’을 제외한 어간 구성 요소인 ‘불-’은 정작 어떤 요소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
---|---|
이형태/이표기 | 부럽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