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리다

- 활용
- 다리어[다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옷이나 천 따위의 주름이나 구김을 펴고 줄을 세우기 위하여 다리미나 인두로 문지르다.
- 다리미로 옷을 다리다.
- 바지를 다려 줄을 세우다.
- 다리지 않은 와이셔츠라 온통 구김살이 가 있다.
- 종년이 조복을 다리다가 자 버리는 바람에 그만 깃을 태워 버리지 않았겠나.≪박경리, 토지≫
- 묵은해에 입던 바지저고리를 그대로 풀만 빳빳하게 먹여 다려 입었다.≪이주홍, 아름다운 고향, 창작과 비평사, 1980년≫
- 소년은 평소에 다른 집 아이들처럼 눈깔사탕을 사 먹거나 그러질 않고, 오르간을 사기 위해 돈만 생기면 다리미로 빳빳하게 다려서 신발주머니에다 모아뒀기 때문에 여유가 있었다.≪김원두, 어느 개의 인간적인 추억, 솔 출판사, 1994년≫
- 내가 한 것에 왜 남의 손을 대이랴 하고 밤중에 일어나 당신의 두루마기를 다렸습니다. 내 손에 옷 얻어 입기도 이것이 마지막이다 하니…….≪현진건, B 사감과 러브레터, 마당 미디어, 1994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때리다(강원), 대루다(경남, 전남), 대리다(경남), 다루다(전남), 대루질-치다(전남), 데루다(전남), 데리다(전남, 제주)
역사 정보
다리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다리다’는 ‘달-’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의 ‘달이다’는 ‘다리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9세기의 ‘달히다’는 ‘달-’과 접미사 ‘-히-’가 결합된 형태로 볼 수도 있고, ‘ㄹ’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한 것으로 잘못 생각하여 ‘ㅎ’을 표기에 반영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리다, 달이다, 달히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