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르멉따

- 활용
- 다름없어[다르멉써





- 품사/문형
- 「형용사」 【…과】
- 「001」((‘…과’ 대신 ‘…(이)나’가 쓰이기도 한다)) 견주어 보아 같거나 비슷하다.
- 이 물건은 진짜와 다름없다.
- 그는 10년 전과 조금도 다름없는 모습이었다.
- 나하고 김 선생하고는 형제간이나 다름없으니 그렇다면 김 형도 내 동생뻘 되는구먼요.≪박경리, 토지≫
- 목숨이 붙어 살았달 뿐이지 산송장이나 다름없네.≪홍성원, 육이오≫
- 폐인이나 다름없는 생활이 시작된 지 어언 두어 달포. 이젠 아무런 의욕과 욕심이 없었다.≪이문구, 해벽≫
- 지난 석 달 감금 상태와 다름없는 생활을 해 온 바람에 그녀에게는 그 같은 뜬소문을 가려들을 만한 능력이 없었던 것이다.≪이문열, 영웅시대≫
- 애정을 기초로 하지 않는 결혼이란 자기 포기나 다름없어.≪김인배, 방울뱀≫
- 왜군들은 이미 빈 섬이나 다름없는 거제도 옥포에 들어가 노략질을 하고 있었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 남이 안 듣는 대화에서야 왕후도 때로는 촌부와 다름없는 말씨를 쓸 수가 있다.≪유주현, 대한 제국≫
- 익삼 씨는 그것으로 마을에서 누리는 두 사람의 지위는 이미 그 우열이 판가름난 거나 다름없다고 치부하고 있었다.≪윤흥길, 완장≫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다름-엄따(경남)
역사 정보
달옴없다(15세기~17세기)>다없다(18세기)>다름없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름없다’의 옛말인 ‘달옴없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달옴없다’는 “다르다”의 의미인 ‘다-’와 명사형 어미 ‘-옴’이 결합한 ‘달옴’과 ‘없-’이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한 단어로 변화한 것이다. 중세 국어의 명사형 어미는 ‘-옴’이었지만, 근대 국어 이후 ‘-’으로 변화함에 따라 18세기에는 ‘다없다’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 이후 ‘다름없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달옴없다, 다없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