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노르다]
활용
노르러[노르러], 노르니[노르니]
품사
「형용사」
「001」달걀노른자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역사 정보

노다(15세기~18세기)>노르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노르다’의 옛말인 ‘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의 ‘ㆍ’가 ‘ㅡ’로 변화하였는데, 이에 따라 17세기에 ‘노르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노다’와 ‘노르다’는 ‘노랗다’의 의미였는데, 현대 국어에 와서 ‘달걀노른자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는 의미로 축소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노다, 노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노다)
瞻婆 곳 일후미니 비치 노고 香氣 저니라 ≪1459 월석 1:44ㄴ
거머리 셜흔 나 봇가 간 노게 고 ≪1466 구방 상:85ㄴ
16세기 : (노다)
디튼 류비체 운문 비단 노 비체 쳔화문욘 비단 ≪1510년대 번노 하:24ㄴ
17세기 : (노다, 노르다)
 빗체 벽드르 문 비단 노 차할 빗체 비단 ≪1670 노언 하:22ㄴ
胡蘿蔔 노른 댓무우 ≪1690 역해 하:10ㄴ
18세기 : (노다, 노르다)
물한댓무우 노른 댓무우 토란 紫蘇를 다 시믐이 됴타 ≪1765 박신 2:39ㄴ
연뉴황빗 지튼 뉴황빗 朱黃 빗 노 차할빗 ≪1795 노언-중 하:23ㄱ
19세기 : (노르다)
 되 노른  첫 물은 로 바다 우 덥흘 적 고 ≪1869 규합 23ㄱ
노른 빗 眞黃色 ≪1895 국한 6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