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그르타다발음 듣기]
활용
그릇하여[그르타여](그릇해[그르태]), 그릇하니[그르타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어떤 일을 사리에 맞지 아니하게 하다.
선왕 처사 그릇하기 때문에 형제간의 우애는 늘 협위를 받고, 거북살스럽고도 전전긍긍한 세월을 보냈다.≪김동인, 대수양≫
길 위에 깔린 무수한 조약돌을, 힘껏, 차, 헤뜨리고, 구보는, 아아, 내가 그릇하였다, 그릇하였다.≪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관련 어휘

옛말
그르-다

역사 정보

그르다(15세기~17세기)>그릇다(18세기~19세기)>그릇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그릇하다’의 옛말인 ‘그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그르-’는 동사 ‘그르-’와 ‘--’가 결합한 것이다. 17세기에 들어와 명사 ‘그릇’과 ‘-’가 결합한 ‘그릇-’가 ‘그르-’를 대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가 ‘-하-’로 바뀌어 ‘그릇하-’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그르다, 그릇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그르다)
 로 佛法僧에 歸依야 警戒 다 디니다가 그르야 지 이리 이셔 惡趣예 러듀믈 두리여 ≪1447 석상 9:25ㄱ
16세기 : (그르다)
내 굿거든 먹디 아니시며 글효 그르야 먹디 아니시며 시졀 아닌 젯 거 먹디 아니시며 ≪1518 번소 4:28ㄱ
17세기 : (그르다)
佛法을 묻노라 야 글 보 그르고 모 보노라 수레 向호 게을이 노라 ≪1632 두시-중 9:25ㄱ
18세기 : (그릇다)
錯了 그릇다1790 몽해 상:24ㄴ
19세기 : (그릇다)
찰하리 일 판결 거시오 여러 가지 그릇믈 방비고 형벌은 양 경게 라 ≪1883 이언 4:46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