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과거

- 품사
- 「명사」
- 분야
-
『역사』
- 「002」우리나라와 중국에서 관리를 뽑을 때 실시하던 시험.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에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 9년(958)에 처음 실시하여 조선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문과, 무과, 잡과 따위가 있었다.
- 과거를 준비하다.
- 과거를 치르다.
- 과거에 응시하다.
- 과거에 급제하다.
- 조선 시대에는 과거를 통하여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
- 글자깨나 읽었으니 우리 벗들은 모두 과거를 보겠다는 생각은 버리지 못한 채 쥐꼬리만 한 수입을 바라며 훈장, 의생, 지사질로 연명하며….≪황석영, 장길산≫
- 의지할 곳 없는 혈혈단신인 최여신이 아무리 공부를 잘해서 과거를 보려 했으나, 호화스러운 진사 급제는 배경 없는 그에게 떨어질 리가 없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뭇 사람 속에 섞여 있어도 곧잘 눈에 띄는 사나이, 닭 중의 봉이요, 사람 중의 용이었다. 그는 비록 과거 시험에 세 번이나 실패했으나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알려졌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이와 같은 서당이나 서원들은 장래 과거를 보게 되는 선비들을 다량으로 산출한다. 과거에 급제하게 되면 무상의 영광인 벼슬을 살게 된다.≪이기영, 봄≫
- 젊은 시절 그는 학업에 정진하면서 과거 준비에 전념하였는데, 다른 한편 며칠씩이나 잠을 자지 못하는 등 심한 우울증으로 고생을 하기도 하였다.≪진경환 외, 고전 문학 이야기 주머니, 도서 출판 녹두, 1993년≫
- 특히 송나라 때 성리학이 나오고, 주자가 해설을 붙인 4서와 5경이 과거 시험의 기본 교과서가 되면서부터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습니다.≪김교빈 외, 동양 철학 에세이, 동녘, 1993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가거(경남, 평안, 함경, 중국 요령성), 가게(경남), 과개(경상, 평안)
관용구·속담(2)
- 속담과거를 아니 볼 바에야 시관이 개떡
- 자기가 과거를 치르지 않으면 시험관이 시시한 개떡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기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리 기세등등하고 권한이 있는 대상이라 할지라도 조금도 두려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과거 전에 창부
-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벼슬아치가 되기도 전에 기생을 데리고 노는 데 재미를 붙였다는 뜻으로, 일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다 된 듯이 경솔하고 망령되게 행동함을 비꼬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