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알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생명』
「002」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역사 정보

앓(15세기~18세기)>알(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알’의 옛말 ‘앓’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앓’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 ‘앓/알’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알’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세기까지 ‘앓’과 ‘알’이 함께 나타나다가 19세기에 ‘ㅎ’이 완전히 탈락한 ‘알’로 정착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앓, 알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앓, 알)
卵 알히오 濕은 저즐 씨라 ≪1459 월석 12:20ㄴ
卵生  날 씨오 ≪1447 석상 19:2ㄴ
16세기 : (앓, 알)
 그톄 알 스러 그 알히 이듬 보  나 ≪1569 칠대 9ㄱ
란 ≪1527 훈몽 하:4ㄱ
17세기 : (앓, 알)
맷 病 됴호 거믄 기라 傳니  알 뵈야로 갓 먹노라 ≪1632 두시-중 17:12ㄴ
이 거슨 이 의 알이로다1677 박언 상:36ㄴ
도 안 의 둥주리 아래 라 두면 ≪1608 언태 11ㄴ
18세기 : (앓, 알)
 새 알흘 앗기면 봉황이 반시 오니 ≪1764 어조 13ㄴ
올히 알이  가니라 ≪1792 무언 3:53ㄴ
19세기 : (알)
솟희 두 알을 살마 거의 익엇거 그 알의 소죵 물으니 ≪1852 태상 5:45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