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비끼다발음 듣기]
활용
비끼어[비끼어발음 듣기/비끼여발음 듣기](비껴[비껴]), 비끼니[비끼니]
품사/문형
「동사」 【…에】
「001」비스듬히 놓이거나 늘어지다.
밤하늘에 남북으로 비낀 은하수.
이윽고 검은 그림자가 푸른 달빛에 비끼었다….≪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밖은 그동안 훤히 동이 터서, 하늘에 비낀 구름들이 연보랏빛으로 곱게 물들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빗기다(16세기~19세기)>비끼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비끼다’의 옛말인 ‘빗기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비스듬히 하다”의 뜻인 ‘다’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7세기에는 ‘ㅅ’ 받침과 ‘ㄷ’ 받침의 표기법이 문란해짐에 따라서 ‘빋기다’의 형태로도 많이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빗기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빗기다)
오 와 안즘애 을 빗기디 아니며 ≪1588 소언 3:17ㄱ
17세기 : (빗기다)
즉제  고 창을 빗기고 뎍딘의 딕도야 ≪1617 동신속 충1:8ㄴ≫
 채티고 창을 빋기고 돌딘야 ≪1617 동삼 충:2ㄴ≫
18세기 : (빗기다)
斜了 빗기다1748 동해 하:54ㄴ
19세기 : (빗기다)
빗기다 橫斜 ≪1895 국한 15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