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드려보내다발음 듣기]
활용
들여보내어[드려보내어발음 듣기](들여보내[드려보내발음 듣기]), 들여보내니[드려보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에】【…을 …으로】
「001」안이나 속으로 들어가게 하다.
술상을 방 안에 들여보내다.
아무도 안에 들여보내지 마라.
시간이 되자 역원들은 승객들을 승차장으로 들여보냈다.
밤에 공부하고 있으면 어머니는 간식을 내 방으로 들여보내 주셨다.
지난밤 덮었던 금침을 대궐 안으로 들여보내 주오.≪박종화, 다정불심≫

역사 정보

드려보내다(18세기~19세기)>들여보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들여보내다'의 옛말인 '드려보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려보내다'는 "들이다"의 의미인 '드리다'와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드려'와 '보내다'가 결합한 것이다. '드리다'는 "들어가다"의 의미인 '들다'와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을 연쳘 표기 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드려보내다'의 '드려'를 분철 표기 한 '들여보내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드려보다'는 '드려보내다'의 제4음절 모음 'ᅢ'를 'ᆡ'로 표기한 것인데, 이는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ᆞ'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되는 경향 때문에 'ᅢ'와 'ᆡ'를 혼동하여 표기한 것이다. 19세기의 '들여보다'는 '드려보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드려보내다, 드려보다, 들여보다
세기별 용례
18세기 : (드려보내다)
즉시 은 읻 대로 드려보내고1748 첩신-개 10하:13ㄱ-13ㄴ
19세기 : (드려보내다, 드려보다, 들여보다)
위예 가 위 밧디 아니고 진의 드려보내니1832 십구 2:108ㄱ
버거 도원과 격물원과 무학원 등 쳐로 드려보니1883 이언 2:42ㄴ
말을 지어 을의 귀의 들여보여 니로 ≪1852 태상 3:31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