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드카다

- 활용
- 아득하여[아드카여](아득해[아드캐]), 아득하니[아드카니]
- 품사
- 「형용사」
- 「001」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희미하고 매우 멀다.
- 아득한 수평선.
- 멀리서 들려오는 아득한 물소리.
- 아득하게 들리는 엄마의 자장가.
- 그가 언덕에서 소리치는 소리가 너무 아득해서 무슨 말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
- 대열은 널찍한 메밀밭에서 시작하여 이백 미터 가까이나 뒤로 아득하게 골짝까지 뻗어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 대추나무가 듬성듬성한 언덕에서 그의 주막까지는 마치 이승과 저승의 거리만큼 아득하게 느껴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다(15세기~18세기)>아득다(16세기~19세기)>아득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득하다’의 옛말인 ‘아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다’는 어근 ‘아’과 접미사 ‘--’가 결합한 것인데, 15, 17세기에는 간혹 ‘--’가 탈락한 ‘아-’의 예도 보인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6세기에는 ‘아득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아득다’는 현대 국어와 같은 ‘아득하다’ 형태로 바뀌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 ‘아다’와 모음 대립에 따른 의미 차이를 보이는 ‘어득다’도 존재하였는데, ‘어득다’는 현대 국어 ‘어둑하다’로 발전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아-, 아- 아득-, 아득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